美 관세 폭탄에 수출 中企 어려움 토로…중기부 “관세 긴급대응반 가동할 것”

Photo Image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오른쪽 다섯 번째)과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왼쪽 다섯 번째)이 12일 경기 화성 지제이알미늄에서 열린 '美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에 따른 수출 중소기업 현장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했다.(사진=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가 미(美) 정부 철강·알루미늄 관세 관련 긴급대응반을 운영한다. 긴급경영안정자금 경영애로 사유에 '보호무역 피해'를 추가해 기업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은 물론 수출다변화도 우대 지원한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중앙회는 12일 경기도 화성 소재 지제이알미늄을 방문해 '미 정부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에 따른 수출 중소기업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철강·알루미늄 대상 관세 조치와 관련 지난달 1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수입되는 철강·알루미늄 대상 관세 포고문에 서명했다. 이후 미국 정부는 지난달 18일 관세 부과 대상으로 추가된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의 목록을 발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수출 중소기업들은 미국 관세 조치로 어려움이 가중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유경연 지제이알미늄 대표는 “올해부터 수출다변화 등을 위해 에어컨, 열교환기 및 변압기 등에 들어가는 알루미늄 부품에 대해 미국 현지기업과 연간 500만불 상당의 수출 계약을 진행 중”이라면서 “이번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 조치로 인해 수출 협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정한성 신진화스너공업 대표는 “국내 파스너 업계가 국내 대기업 외 대체 원자매 공급망 확보가 어렵다”라면서 “국내 철강·알루미늄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지 않도록 정부 차원의 모니터링 등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라고 언급했다.

이에 중기부는 관세 피해기업에 대한 신속한 지원 체계 마련을 위해 긴급대응반을 본격 운영하기로 했다. 먼저 전국 15개 애로신고센터는 수출 중소기업 피해 접수와 애로 상담을 수행한다. 미국 정부 관세 부과 대상이 되는 철강·알루미늄 및 파생상품 목록을 안내하고, 관련 정보 제공 및 상담을 지원할 계획이다.

관세 조치로 경영애로를 겪는 중소기업을 신속지원하기 위해, 긴급경영안정자금의 경영애로 사유에 '보호무역 피해'를 추가해 경영정상화 자금을 지원하고, 피해기업에 대해서는 긴급경영안정보증 신청서류도 간소화할 계획이다.

수출다변화도 우대 지원한다. 수출바우처 2차 공고(5월 예정) 시 관세조치 피해기업에 대한 별도 지원물량을 배정해 수출전략 수립 컨설팅을 지원하고, 관세조치 대응을 위해 수출국 다변화를 추진하는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정책자금 정책우선도 평가 면제와 패스트트랙 평가 등을 통해 평가절차를 간소화할 계획이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 정책이 현실화 됨에 따라 수출 중소기업이 느끼는 대외환경의 불확실성이 어느 때보다 높다”라면서 “중기중앙회 품목별 협·단체 등과 함께 신속한 지원을 통해 관세 피해가 우려되거나 관세 피해를 입은 수출 중소기업의 경영정상화, 수출국 다변화 등을 적극 돕겠다”고 말했다.

이어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급변하는 통상 환경에 대응해 중소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민관이 협력하는 전방위적 대응이 시급하다”라면서 “중기중앙회는 올해 4월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를 개최해 우리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미 연방정부 및 12개 주정부 경제관료를 만나 트럼프 신정부와의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박윤호 기자 yuno@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