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반도체 추경' 강조한 野… 박찬대 “혁신 산업 육성 위해 과감한 지원해야”

Photo Image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18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인공지능(AI)과 반도체, 바이오 등 혁신산업 육성을 위해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업계의 요구를 반영한 예산과 지원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18일 제5차 민생경제회복단 추경예산 간담회에서 “글로벌 첨단 산업에서 기술력 확보를 위한 과감한 지원에 나서야 한다. 신속한 추경 집행도 이뤄져야 한다”면서 “민주당은 민생과 산업경제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우리 경제가 새롭게 도약하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날 업계에서는 첨단 산업 육성을 위해 즉각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오상진 광주광역시 인공지능산업융합단장은 “국내 AI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국가 전략적 AI 자원확보와 연구개발 촉진 지원, 국가 AI 반도체 전략적 육성, 기존 기업과 AI 기업 간 융합 확산 지원, 전문 인력 확보 지원, 생태계 활성화 지원 등에서 파격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영탁 SK텔레콤 실장도 “정부 마중물을 통해 산업별 특화 AI 서비스가 LLM 투자를 촉발하고 LLM이 AI 인프라 수요를 견인하는 선순환 구조를 정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하정우 네이버 클라우드 센터장은 “딥시크(Deepseek) 사태로 인해 천문학적 투자를 해야지만 미국 수준 인공지능 만들 수 있다는 생각이 깨졌다”면서 “GPU를 확보하려는 노력을 추경에 반영해야 한다”면서 “2030년이 되면 GPU와 NPU를 포함해 50만장을 확보하려는 목표로 잡고 가야한다”고 설명했다.

반도체 업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안기현 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첨단 반도체 제조 능력 확대,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기술력 강화, AI 반도체 신시장 선점 등을 위해 즉각적인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재 육성과 전력망 투자 등이 시급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박재근 한양대 교수는 “향후 10년간 10만명의 반도체 인력이 필요하다. 추가 반도체 석박사 인력 양성을 위해 270억원의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전력망 인프라 확충을 위해 1500억원의 추경 예산 지원 필요하다”면서 “첨단 반도체 양산 연계형 미니팹 구축 예산도 증액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민주당은 이번 추경을 시작으로 대규모 예산 투입을 통해 신산업 육성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허영 민주당 의원은 “정부가 선도적 투자를 감행해야 시너지가 날 수 있음에도 비상계엄과 국제 관세 쇼크 등으로 인해 기회를 잃고 있다”며 “R&D(연구·개발), AI 등 대응해야 하는 산업 분야에 마중물이 부족하다면 든든하게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최기창 기자 mobydic@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