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발 관세전쟁이 본격화하면서 정부도 우리 수출 기업 보호에 나섰다. 범부처 대응 체계를 구축, 금융·수출 지원 등을 위한 총력전에 들어갔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수출기업과의 오찬간담회를 갖고 “수출기업에 역대 최대인 360조원 금융지원을 하는 한편, 수출전략회의를 재개하고 범부처 비상수출대책을 이달 중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최 권한대행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멕시코, 캐나다, 중국에 대한 고율의 관세조치로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데, 우리 경제와 기업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가용수단을 총동원해 대응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는 지난 1일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에 25%(캐나다산 에너지 제품에 대해서는 10%), 중국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함에 따라 이뤄졌다.
엘앤에프와 케이조선, 동진쎄미켐, 대모엔지니어링, 코디아산업 등 주요 수출기업 대표 등이 참석했고 정부에선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김병환 금융위원장 등이 함께 했다.
최 권한대행은 “수출기업 유동성 확보를 위해 역대 최대 규모로 수출금융을 공급하는 한편, 해외전시회·무역사절단 등 수출 지원사업에 전년 대비 40% 증가한 2조900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라며 “한미동맹을 토대로 새로운 협력 기회를 발굴하고, 수출 다변화를 위해 아시아와 중동, 중남미 등 신흥시장까지 통상 네트워크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수출기업은 △반도체·이차전지 산업에 대한 지원 확대, △조선업 금융지원 및 RG 한도 상향, △해외전시회 및 수출바우처 지원 확대 등을 요청했다.
산업부는 이날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주재로 부내 TF 회의를 열고 미국 신 정부의 캐나다, 멕시코, 중국 대상 관세 조치의 내용과 영향을 점검하는 한편, 미국 신정부의 주요 통상·에너지 관련 행정조치의 영향과 대응 방안을 검토했다.
산업부는 그 간 주요 업계, 연구기관 및 민간 전문가 등과 소통하며 미 신정부 정책의 영향과 대응 방향을 논의해 왔다.
산업부는 이날 회의에서 우리 기업의 요구와 지원 방안·시기 등을 종합한 단계별 시나리오를 점검하는 한편, 향후 미 정부의 추가 대응 방향 등을 논의했다.
산업부 고위 관계자는 “미국의 관세 부과 기간 등 향후 상황에 따라 기업에 미치는 여파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면서 “우리 기업이 입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상황에 따라 이행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인교 본부장은 “미국 신정부가 미국 우선주의 정책하에 각종 행정조치를 빠르게 발표하고 있으며 관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면서 “우리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미국 통상·에너지 주요 행정조치에 대해 부내 모든 가용 수단을 동원해 시나리오별로 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