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지자체, 석탄화력 일자리 감소 등 부정적 영향 해소 방안 마련

Photo Image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가운데)이 10일 서울 종로구 석탄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석탄 발전 전환 협의체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12.10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정부, 발전공기업, 지방자치단체가 석탄화력발전소 단계적 폐쇄에 따른 일자리 감소 등 부정적 영향 최소화 방안을 수립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서울 종로구 석탄회관에서 관계부처, 지방자치단체, 발전 공기업 5개 사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석탄발전 전환 협의체' 회의를 열고 석탄발전소의 단계적 폐쇄에 따른 부정적 영향 최소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협의체는 석탄발전 인프라의 재활용 방안 등을 포함해 석탄발전의 단계적 전환이 지역경제와 일자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담을 '석탄발전 전환 로드맵'을 함께 수립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는 내년 말 운영이 중단되는 태안화력 1호기 등 석탄발전소의 본격적인 단계별 전환을 앞두고 관계부처, 지자체, 발전 5사가 처음 함께 모인 자리다.

산업부와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위원회, 고용노동부가 참석했고, 지자체에서는 오는 2030년까지 전환 예정인 석탄발전소 소재 지역의 대표인 충청남도 정무부지사, 보령시장, 태안군수, 하동군수, 당진시 부시장, 고성군 부군수와 발전5사 사장단이 참석했다.

오는 2030년까지 태안화력(1~4호기), 하동화력(1~6호기), 보령화력(5,6호기), 삼천포화력(3~6호기), 동해화력(1,2호기), 당진화력(1~4호기) 등이 단계적으로 운영을 중단하게 된다.

정부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단계적으로 석탄 발전을 폐지하고 재생에너지, 수소, 원전 등을 아우르는 무탄소에너지 발전 비중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최남호 2차관은 “석탄발전은 국가 산업 발전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핵심 임무를 수행해왔지만 탄소감축이라는 시대적 과제에 따라 그 소임을 다하고 단계적 전환이 요구되는 전환점에 이르렀다”면서 “폐지 이후 남겨지는 발전 설비, 송전선로, 부지 등의 적절한 활용 방안을 고민하고 지역 경제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하자”고 강조했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