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산책] 딥테크 창업 시대, 공공연구성과 활용과 제도적 뒷받침 중요

Photo Image
임환 한국연구소기술이전협회장(KIST 기술사업전략본부장)

최근 공공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한 딥테크 창업 사례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필자가 근무하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기술 기반으로 창업한 큐어버스는 지난 16일 글로벌 제약회사와 약 5000억원 규모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기술 수출 사례 중 역대 최대 규모로 공공연구성과 확산 잠재력과 경쟁력을 보여주는 주요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권기정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박사는 수직 이착륙 스마트 무인기 기술을 활용해 '나르마'라는 스타트업을 창업해 아프리카 교통이 열악한 지역에서 드론을 통한 약품 배송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처럼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무대에 도전하는 연구자들은 늘어나지만, 제도적 뒷받침과 창업 환경이 아직 충분히 마련되지 않은 현실이다.

첫째, 딥테크 창업 촉진을 위한 입법화가 필요하다. 공공연구 성과를 활용한 딥테크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별도 입법이 효율적이다. 연구에 따르면 혁신적인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딥테크 스타트업 5년 생존율은 약 80%로 일반 스타트업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며 성장 속도 또한 더 빠르다.

이런 통계는 딥테크 창업이 경제 혁신을 이끌 수 있는 중요한 수단임을 보여준다. 공공 연구 기반 딥테크 창업 성공 요인은 연구 성과의 질, 장기적인 자금 지원, 상업화 능력, 그리고 우수한 인재와 창업팀 구성에 달려 있다.

현재 발의 중인 '연구개발성과 확산에 관한 법률'은 기존 '연구개발 성과평가 및 관리에 관한 법률'과 함께 딥테크 창업을 촉진하는 법적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둘째, 재정 및 인프라 지원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딥테크 창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초기 단계 재정적 지원과 후속 상용화 지원시스템이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정부 연구개발(R&D) 예산 중 사업화 관련 예산은 2.3%에 그치고 있으며, 2024년 예산 중 2084억 원만이 사업화 예산으로 배정돼 있다고 한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창업 초기 단계에서 재정적 기반을 마련하고, 전폭적인 지원을 할 수 있는 투자 시스템과 인프라 지원 시스템이 절실하다.

딥테크 창업은 특성상 규제, 인허가 등 환경적 부담을 완화하는 지원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박정규 한국화학연구원 박사는 연구소 지원과 친환경 기술을 활용한 탄산칼슘·구연산칼슘 생산을 통해 창업에 성공했지만, 이런 성공 사례가 더 많이 나올 수 있도록 포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연구 성과에 대한 보상 체계와 창업자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 연구자 창업 보상은 주로 현금으로 이뤄지지만, 이는 연구자들에게 장기적인 동기부여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

메사추세츠공대(MIT)와 스탠퍼드 사례처럼 주식이나 지분 형태의 보상 체계와 스톡옵션 제도가 활성화된다면 연구자들은 창업 기업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특히 이들 선진 기관들은 대학 임에도 불구하고 휴직 기간을 1년 정도로 제한하고 보상 체계와 VC투자, 컴퍼니 빌더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성공확률을 높이며 연속적인 창업 참여를 유도하고 있어 우리가 본받을 만하다.

첨단 연구소에서 핵심연구 역량을 보전하는 것은 너무도 중요하다. 창업을 위한 제도를 근본부터 재검토할 필요가 있는 이유다.

공공연구 기반 딥테크 창업은 우리나라 과학기술 성과를 글로벌 무대에서 빛나게 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 공공 R&D 기반 딥테크 친화적인 창업 제도를 도입하고, 관련 법안의 신속한 통과가 필수적이다.

한국의 출연연은 정부 주도로 과학기술 연구를 진행하는 독특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국가 경제 발전과 산업 기술력 강화를 위한 중추 역할을 해왔다. 이런 강점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정부와 연구기관, 산업계가 협력해 딥테크 창업을 촉진하는 제도적 기반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해외 선진기관이 보여준 창업 생태계를 벤치마킹해, 정부와 국회가 창업 지원을 위한 입법 노력을 가속화하고, 재정 지원과 보상 체계를 개선함으로써 더 많은 연구자들이 성과를 창출하고 딥테크 창업을 통해 국가 경제에 기여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기를 바란다.

임환 한국연구소기술이전협회장·KIST 기술사업전략본부장 hwanlim@kist.re.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