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와 배터리, e-커머스 등 한국과 중국간 경쟁이 격화된 산업 분야에 대한 국내 온라인 기사에 중국이 조직적 댓글로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산은 거른다”는 등 한국산을 폄하하고 중국산을 호평하는 식의 댓글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김은영 가톨릭관동대 경찰행정학과 교수·홍석훈 국립창원대 국제관계학과 교수 연구팀은 최근 발표한 '한중 경쟁산업 분야에 대한 인지전 실태 파악'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2023년 7월부터 올해 8월까지 네이버와 유튜브, 네이트 등 온라인 플랫폼에서 한국과 중국 간 경쟁 산업 분야 관련 기사에 달린 댓글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국내 경제 분야에 대한 중국의 조직적 댓글 실체가 처음 확인됐다.
연구팀은 중국식 번역체, 중국 고유 ID·프로필 특성, 동일 ID 반복댓글 등 해외 선행연구에 사용된 중국인 계정 식별 기준을 적용해 중국 의심 계정을 찾았다.
네이버에서 전기차와 배터리·스마트폰·삼성·알테쉬(알리·테무·쉬인) 등 주요 키워드를 이용해 기사 70개를 무작위 수집해 댓글을 분석한 결과, 중국인 의심자가 높은 빈도로 댓글을 게시하는 기사들이 총 댓글 수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팀은 “한국인이 주로 댓글을 작성하는 기사에 (중국인 의심자들이) 댓글을 더 많이 게시했다”며 “이는 한국인의 댓글 게시가 증가하는 경우가 중국인 의심 댓글러들이 해당 기사에 댓글을 게재할지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전기차와 스마트폰 등 한·중 경쟁 산업 분야에서 수년 전부터 반복적인 여론 선동 동향이 포착됐으며, 최근 폄훼 댓글 빈도가 증가 추세인 것으로 확인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 같은 댓글은 국민의 불안감을 조성하는 '겁주기', 정치·남녀·지역 갈등 등을 조장하는 '갈라치기', 중국을 비판하는 국내 매체에 대한 영향력을 떨어뜨리려는 '버리기' 기법을 활용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파악된 77개 계정이 국내 네이버 포털에 댓글을 달고 있는 중국인 추정 계정의 전체 값이라고 볼 개연성은 거의 없고, 오히려 전체 중국인 추정 계정 수의 극히 일부에 해당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말했다.
온라인 기사 외 유튜브의 경우에도 중국인 추정 계정이 239개로 파악됐다.
유튜브의 기사별 최대 댓글 수는 2698개로, 네이버(454개)보다 높은 빈도로 조직적 여론 선동 작업이 이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이 새로운 형태의 중국발 인지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문제의 댓글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한편 중국 행위자를 식별해 낼 수 있는 프로파일링 지표와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연구팀은 제언했다.
김지웅 기자 jw0316@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