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종양 미세환경서 항암면역 억제 기전 규명…新 치료 표적 제시

Photo Image
정원일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는 정원일 의과학대학원 교수팀이 새로운 간암 치료 표적으로 발굴했다.

KAIST는 연구진이 종양 관련 대식세포(TAM)와 간 성상세포(HSC) 간 상호작용을 통한 세포독성 'CD8+ T세포' 증식 억제를 간암 병인 기전으로 규명하고, 이를 새로운 치료 표적으로 제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은 'CX3CR1 케모카인(대식세포 침윤에 중요 역할을 하는 신호 전달 분자)'을 발현하는 특정 종양 관련 대식세포가 암 주변 조직 내로 이동해 활성화된 간 성상세포와 상호작용함을 확인했다.

이때, 활성화된 간 성상세포에서 분비되는 '레티노익산'이 종양 관련 대식세포의 '아르기나아제 1(Arg1)' 발현을 유도해 세포독성 CD8+ T세포 증식이 억제되며 간암 발병이 촉진됨을 밝혔다.

또 연구팀은 CX3CR1이 결손된 쥐에 간암을 유발했을 때, 암 주변 조직으로 이주한 종양 관련 대식세포 수가 감소하고 종양 발생 또한 눈에 띄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암 발병 시 종양 미세환경 내에는 다양한 면역세포들이 존재하고, 특히 세포독성 CD8+ T세포는 항암 면역반응을 일으켜 종양 발생을 억제한다.

그러나 CD8+ T세포 증식에 필요한 아르기닌이 대식세포의 Arg1으로 고갈되면 CD8+ T세포 군집이 감소하고, 이에 따른 항암 면역반응 감소로 종양 발생이 유도된다. 이런 대식세포의 Arg1 발현은 근접해 있는 간 성상세포 유래 레티노익산으로 유도되며, 쥐의 간 성상세포 내 레티놀 대사를 억제했을 시 간암이 호전된 것을 연구팀은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간암 종양 미세환경 내 면역세포와 비실질 세포인 간 성상세포 상호작용 기전을 대사적 측면에서 최초로 밝혔다. 이를 억제하는 새로운 간암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

KAIST 의과학대학원 정종민 박사, 최성은 박사과정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간학(Hepatology)' 7월 19일 자 온라인판에 출판됐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 리더연구 및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됐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