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기 침체 우려로 우리나라를 비롯 주요국 증시가 동반 폭락했다. 앞서 미국 증시는 제조업 위축, 고용 충격, 빅테크 실적 부진 등으로 지난 주 이틀 연속 급락했다. 세계 경제의 어두운 앞날을 예고하고 있다.
갈수록 악화되는 중동 정세도 세계 경제에 또 다른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세계 경제를 위협하는 요인이 도처에 널려있다. 세계 경제가 침체로 치닫고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 경제에는 한결같이 부담이 가중될 수 밖에 없는 요인이다. 이러다가 우리나라 경제가 경험하지 못한 위기에 직면하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물론 글로벌 경기 침체와 수출 부진·내수 저조 등 불황의 공포는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당장 미국 경제 침체 우려가 장기화될 지 혹은 일시적일 지 장담할 수 없는 실정이다.
무엇보다 우리나라 경제를 둘러싸고 안팎의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긴장의 끈을 놓아선 안 된다. 최악의 상황을 상정하고 대비해야 할 시점이다.
정부와 국회, 기업 모두 예외일 수 없다. 비상 시국에선 비상한 각오로, 비상한 대처를 해야한다. 무엇보다 가능한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야 한다. 금융 위기 확산과 물가 급등을 막기 위한 조치, 공급망 안정 대책, 수출 활성화 방안이 그것이다.
선제적이고 체계적 대응이어야 구조적으로 고착화되는 경제 침체에 대비할 수 있다. 차질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필요한 조치는 적시에 취해야 한다. 그래야만 충격을 최소화하고, 난국을 탈피해 정상 궤도로 빠르게 다시 진입할 수 있다.
무엇보다 정부는 기업과 소통을 늘려 현장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 경제 주체인 기업없이 불황 극복은 불가능하다. 정치권도 대오각성해야 한다. 현재처럼 정쟁만 반복할 게 아니라 경제 회복에 동참해야 한다.
불확실성에 휘둘리지 않을 만큼 확고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위기에서 탈출할 수 있는 해법이라는 사실은 불문가지다.
정부와 국회, 기업 등 모든 경제 주체가 당장 위급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응급대응을 시작으로, 이어 보다 근본적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위기일수록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선 과감하고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
과도한 비관은 금물이지만, 충격 강도를 생각하면 대비책은 아무리 준비해도 부족하다. 필요하면 기존 경제 패러다임도 전면적으로 재조정해야 한다. 위기 상황에선 무엇이든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김원배 기자 adolfkim@etnews.com
-
김원배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