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S 포럼 모빌리티 분야] 유은정 연세대 교수 “데이터와 MaaS 시너지로 연결된 도시·세상”

Photo Image
유은정 연세대 교수.

MaaS(Mobility as a Service)는 '연결된 도시, 연결된 세상'의 핵심 수단 중 하나가 되며 데이터가 핵심이다. 일례로 시민은 다양한 교통수단을 하나의 통합된 서비스로 제공받아 여러 교통수단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쉽게 이용하고 결제할 수 있다.

MaaS의 미덕은 공급자 중심의 교통체계에서 '수요자 중심의 교통체계로 전환'하는 혁신이다. 우리는 앞서가는 스마트시티이지만 아직 완전한 수요자 중심의 패러다임에 이르지 못했다. 데이터 기반 MaaS가 구현될 경우 각종 공간정보와 행정정보가 융합된 디지털 허브와 도심융합서비스플랫폼은 도시의 다양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수요자 중심의 사용자 맞춤형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데이터와 MaaS의 시너지는 도시에 '효율적인 운영력'을 선물한다. 대전 주요 도로가 출퇴근 시간대에 교통 혼잡이 심화될 경우, 시는 디지털트윈 기술을 통해 혼잡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고 최적의 신호 조정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특정 구간의 차량 흐름을 원활하게 해 혼잡을 완화할 수 있다.

도시에 '수요 예측력'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대전에서 대규모 이동과 행사가 있을 예정이라고 해보자. AI 디지털 허브와 도심융합서비스플랫폼은 과거 데이터와 실시간 데이터를 분석해 관광 시즌 교통 수요를 먼저 예측한다. 이를 바탕으로 트램과 PM 추가 운행을 계획하고, 버티포트 운영 시간을 조정해 관광객의 편리한 이동을 지원한다.

데이터기반 MaaS는 '도시 계획 및 정책 수립력'을 높인다. 대전시는 디지털트윈을 활용해 새로운 트램 노선을 계획할 수 있다. 기존 교통 데이터를 분석해 교통 수요가 높은 지역을 파악하고, 최적의 노선을 설계한다.

MaaS와 데이터의 시너지는 '문제 감지 및 대응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대전 도심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때 디지털 허브는 사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해, 현장으로 긴급 차량을 보내고 우회할 수 있는 대체 경로를 제시한다.

현재 많은 도시들이 교통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지만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높은 난이도를 필요로 한다. 데이터가 신뢰성을 확보한 상태로 자유롭게 통합 및 활용돼야 앞서 이야기한 내용들이 가능한데 이를 위한 통합이 부족하다. 최근 데이터 통합적 중개 및 활용에 대한 노력이 가시화되고 있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데이터 기반 MaaS의 기간이 되는 통신, 데이터, 에너지 등 민간 인프라도 고려해야 한다. 특히 도심융합서비스플랫폼 및 신교통 서비스의 핵심인 도심항공교통(UAM)의 끊김없고 안정적인 서비스 구현을 위한 통신 3사의 연결성 확보를 위한 협조가 필요하다.

지자체 간 데이터 표준화, MaaS 구현을 위한 기존 플랫폼 간 표준화나 위계 문제도 해결돼야 한다. 기존 추진한 온 데이터허브 등 스마트시티 서비스와의 활용성, 연결성 등도 고려해 일관성 있게 설계 및 구현돼야 청사진의 실현이 가능할 것이다.

양승민 기자 sm104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