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전기차 59만대 생산 물량
에너지 밀도 높인 기술력 입증
시장 주도 中 제치고 유럽 진출

Photo Image
LG에너지솔루션과 르노 관계자들이 지난 1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르노 본사에서 배터리 공급 계약 체결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질 르 보르네 르노 최고기술책임자(CTO) 부사장, 최승돈 LG에너지솔루션 자동차개발센터장 부사장, 프랑스아 프로보 르노 최고생산책임자(CPO) 부사장, 서원준 LG에너지솔루션 자동차전지사업부장 부사장, 필립 브루네 르노 파워트레인·EV 엔지니어링 사업부 전무, 조셉 마리아 르카젠 르노 최고책임전략자(CSO) 전무. (사진=LG에너지솔루션)

중국 기업이 주도해온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시장을 향한 한국의 진격이 시작됐다.

LG에너지솔루션은 프랑스 완성차 업체 르노와 LFP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계약 기간은 내년 11월부터 2030년 말까지 5년으로 공급 규모는 39기가와트시(GWh)다. 순수 전기차 59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물량이다. 양사는 구체적인 계약 금액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규모를 미뤄볼 때 수 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에서 르노 차세대 전기차에 탑재되는 LFP 배터리 셀을 생산할 예정이다. 폴란드 공장은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 생산 라인으로 구성돼 일부 라인을 LFP용으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Photo Image
LG에너지솔루션-르노 공급 계약 개요

LG에너지솔루션이 LFP 배터리로 대규모 수주에 성공한 건 처음이다.

LFP 배터리는 그동안 중국이 세계 시장을 주도했다. NCM 배터리 대비 에너지 밀도가 떨어져 전기차 주행거리가 짧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안전성이 높아 중국은 전기차 대중화를 겨냥해 LFP 배터리를 육성했다. 그 결과, 중국 CATL과 비야디(BYD)가 전 세계 시장의 70%를 차지했다.

전기차 시장 개화로 가격 경쟁력이 중요해지면서 완성차 업체들도 LFP 배터리 채택을 늘렸다. 이에 한국 배터리 업체들도 LFP 배터리 시장 대응에 나섰는데, LG에너지솔루션이 첫 성과를 거둔 것이다. 글로벌 자동차 3대 시장 중 하나인 유럽에 진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르노는 LG에너지솔루션의 기술 경쟁력을 높이 평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르노 이차전지에 파우치형 배터리 최초로 셀투팩(CTP) 공정을 적용했다. CTP는 기존 배터리 구성에서 모듈을 제거하고 팩에 배터리 셀을 직접 조립하는 기술로, 무게를 줄이고 더 많은 셀을 탑재해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다.

LG에너지솔루션에 따르면 파우치형 CTP가 각형 CTP보다 무게당 에너지 밀도를 약 5% 높게 설계할 수 있다. 또 열 전이 방지 기술을 적용해 안전성을 높이면서 전체 팩을 구성하는 부품을 줄이고 공정을 단순화, 제조 원가 절감도 가능하다.

LG에너지솔루션은 하이니켈 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NCMA)에서 고전압 미드니켈 NCM·LFP 등 중저가 배터리까지 다양한 파우치형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보했다.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은 “유럽 공략을 필두로 글로벌 LFP 배터리 수주를 본격화하고, 검증된 현지 공급 능력, 독보적인 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해 최고 수준의 고객가치를 지속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Photo Image
LG에너지솔루션 파우치 롱셀 배터리. (사진=LG에너지솔루션)

한편 LG에너지솔루션은 이날 호주 리튬 광산 업체인 라이온타운에서 175만톤의 리튬 정광을 조달하는 계약도 체결했다. 고성능 전기차 500만대분의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는 물량이다.


리튬 정광은 리튬 광석을 가공해 농축한 고순도 원자재로 수산화리튬 원료가 된다. 핵심 원재료 공급망 강화 차원으로 회사는 라이온타운 리튬 정광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보조금 요건도 충족한다고 설명했다.


이호길 기자 eagle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