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계통난 해소 총력...호남·수도권 전력망 건설 단축·알박기 퇴출

Photo Image
게티이미지

정부가 발전소 출력 제어를 야기하는 전력 계통 포화 문제 해결에 나선다. 호남·수도권 융통선로 건설 기간을 1년 단축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실제 전력망 사업을 하지 않고 계통 용량을 선점하는 이른바 '전력망 알박기'를 집중 점검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이호현 에너지정책실장 주재로 '전력망 혁신 전담반(TF)' 회의를 열고 '출력제어 최소화를 위한 지역별 맞춤형 계통포화 해소 대책'을 논의했다.

현재 전력 계통은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증가 속도를 따라 잡지 못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건설에는 최대 3년이 걸리는 데 비해 송·변전설비 건설에는 최소 6년 이상이 소요된다.

지난해 기준 국내 신재생에너지 누적 설비용량은 35GW를 넘어섰다. 원자력발전소 30여기에 해당하는 수치로 액화천연가스(LNG)·석탄 화력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규모다.

이런 상황에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6월 발표한 제10차 장기 송·변전설비 투자계획에서 9차보다 약 2배 증가한 56조5000억원을 송·변전설비에 투자키로 했지만 지역 주민 수용도, 부지 확보 등 문제로 집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로 인해 호남·제주 등 재생에너지가 집중 보급된 지역은 블랙아웃을 막기 위한 출력제어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호남 지역의 재생에너지 용량은 11GW로 2032년까지 32.5GW가 추가로 연계될 예정이다. 전력망이 확충되지 않으면 호남 지역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3% 이상을 제어해야 한다.

산업부는 전력 계통 확대가 시급하다고 보고 우선 호남∼수도권 융통선로 건설 기간을 1년 단축하는 데 역량을 집중한다. 신정읍∼새만금#2∼신서산 선로와 신계룡∼북천안 선로의 준공 시점을 각각 2031년 12월에서 2030년 12월로 1년 앞당긴다는 목표다.

기존 전력망 활용도도 제고한다. 전력망을 선점한 채 실제 사업을 하지 않거나, 장기간 사업 실적이 없는 알박기 사업자를 걸러낸 뒤 접속 여유 물량을 신규 사업자에게 배분할 계획이다.

계통 안정화 설비를 도입하거나 피크시간대 출력제어를 조건부로 발전허가를 낸다.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통해 피크시간에 에너지를 저장하고 그 외 시간에 방전해 계통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자에게 우선 접속을 허용한다. 한전은 '출력제어 최소화를 위한 계통관리변전소를 공개해 계통이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지역으로 발전사업 신청을 유도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이를 통해 2027년까지 최대 9.3GW의 여유 용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호현 에너지정책실장은 “계통포화 현상이 조기에 해소될 수 있도록 전력망 조기 건설과 함께, 계통 안정화를 위한 추가적인 설비 보강, 제도 마련 등을 추진해 재생에너지 보급·확산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며 “지자체 대상으로 지역 계통현안을 안내하고 협조를 당부했고 나아가 지역별 전력계통 협의체 운영을 통해 맞춤형 대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