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기차 배터리의 원료 채취부터 폐기에 이르는 전주기에서 생산되는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통합 플랫폼 마련에 착수했다.
환경부는 전기차 전주기 탄소중립 통합환경정보센터 구축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했다고 7일 밝혔다.
전기차 배터리 이력관리는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시작됐다. EU는 지난해 새로운 배터리 관련 규정을 발표했다. EU 역내에 유통되는 배터리에 QR코드를 부착해 전주기 정보를 디지털화해 제공하는 배터리 여권제를 2027년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전기차 배터리의 환경규제 강화에 대응하고 재사용과 재활용 등 사용 후 배터리 생태계 조성을 통해 순환경제로 전환하는 게 목적이다. 특히 환경 규제와 함께 전기차 보급 확대로 배터리 핵심 광물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원자재 공급망 안정화도 강조되고 있다.
이와 함께 배터리 제조를 위한 원료 채취부터 폐기까지 전기차 전주기 동안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해 탄소배출 저감효과를 평가할 전기차 '전 과정 분석(LCA)'도 필요하다. EU는 자동차 온실가스 전 과정 평가의 표준방법을 마련하고 UN산하 자동차 규제조화 세계포럼도 2025년 말 자동차 전과정평가 전문가그룹을 구성하는 걸 목표로 평가 방법을 개발 중이다.
이를 위해 전기차 통합환경정보센터에는 빅데이터 기반 플랫폼을 구축해 배터리 이력관리와 LCA 과정에서 도출되는 원시데이터, 통계데이터, 예측데이터 등을 참여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제공되는 데이터는 민간의 데이터 기반 사업과 정부의 관련 행정 지원 등에 활용된다.
규제 대상자와 일반 국민 등 다양한 사용자 유형의 민원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해 국민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능형 민원 응대 시스템도 갖출 계획이다.
환경부는 ISP를 통해 통합 플랫폼 구축 관련 국내외 법령 및 제도 추진 현황을 검토하고 최신 기술의 적용 가능성 등을 분석할 방침이다.
환경부는 “전기차 배터리 이력 관리를 통해 국제적 환경 규제에 대응하고 배터리 순환경제 전환에 기여할 수 있다”며 “배터리 전주기 정보가 공개되면 관련 시장 활성화, 범정부 데이터 공유로 정책의 효과가 향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