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성의 기술창업 Targeting] 〈293〉 [AC협회장 주간록3] AC협회, 민간 콘트롤타워 역할은 선택 아닌 필수

Photo Image

최근 액셀러레이터(창업기획자, 이하 AC) 업계에 이슈가 된 2개의 기사가 있다. 3월 6일자의 '액셀러레이터 10곳 중 4곳은 투자 無…창업기획자 관리·감독 개선 추진'과 13일자의 '공모주 열풍에 불법유사수신 활개'다. 첫 번째 기사를 요약하면 양적 성장과 달리 제 기능을 못하는 AC가 상당하다는 지적이다. 창업기획자 공시 305건을 전수조사한 결과, 114개 AC가 작년에 투자를 집행하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는데 전체의 37.3%고 보육 프로그램을 기재하지 않은 AC도 92곳이나 달한다는 내용이다. 두 번째 기사는 액셀러레이터로 등록한 모업체가 규정한 방식대로 투자를 수행하지 않고 불법유사수신행위를 지속하고 있다는 기사다. 벤처투자촉진법에 따라 액셀러레이터는 전체 투자 금액의 40~50% 이상을 3년 이내 초기 기업에 의무적으로 투자해야 하지만 언급된 회사는 투자실적은 전무하고 홍보하고 있는 투자 대상은 기업공개(IPO)를 목전에 둔 기업이라 문제가 되고 있다.

이 문제의 해결방법으로 제시되는 정부의 관리·감독 개선이 미봉책에 그치지 않으려면 AC협회에 민간 콘트롤타워 역할을 부여해야 한다. 필자가 협회장 취임 이후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있는 것이 협회의 민간 콘트롤타워 역할이다. 이 시작점은 현재 창업진흥원이 담당하고 있는 창업기획자 등록을 위한 서류 검증·관리 업무 및 전문인력 자격인증 업무와 엔젤투자협회가 담당하고 있는 AC의 개인투자조합 관리 업무의 AC협회 이관 시점이다. 이후 액셀러레이터들의 신규인증과 보수교육을 강화하고 동시에 모니터링 기능을 체계화한다면 제시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정부와 언론들이 참조하는 액셀러레이터 관련 공시는 한국벤처투자가 운영하는 창업기획자 전자공시(DIAA)를 기반으로 운영된다. AC들의 공시 의무는 중요해지는데, 아직 제대로 된 공시법을 전달해주는 기관이 없어 각 AC마다 스스로 조사하고 해석해 공시하고 있지만, 이 과정에서 누락되거나 오류성 정보가 다수 생기고 있다. 공시 과정에서 기별로 무엇을 해야 할지, 어떤 정보를 취합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AC협회는 한국벤처투자의 ERP인 VICS 시스템에 접근 및 열람 권한이 없기 때문에 공시업무를 도와줄 책자도 만들 수가 없다. 사실 협회로 공시 입력기준에 대한 다양한 질문이 들어오지만 역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정 사안마다 정확한 피드백을 줄 수도 없다. 예를 들어 보육 프로그램 공시 행위에 대해도 AC1은 멘토링 보고서를 1건으로 등록하고, AC2는 10개 이상 스타트업들을 6개월간 보육한 배치프로그램을 1건으로 등록한다. AC2가 등록한 1건을 AC1의 기준으로 보면 100건 가까이 등록해야 한다. 매우 모호한 기준임에도 관련 세부규정은 찾기가 어렵다.

창업진흥원이 창업기획자를 등록받는 시점에 필수 오리엔테이션 과정으로 공시 및 보고 관련 내용을 교육해야 하지만 이 과정도 현재 없다. 창업기획자 등록 전 사전검증 및 관리 업무가 AC협회 이관이 절실한 이유는 등록을 위해서 또 등록 후 관리를 위해서 교육이 동반돼야 하기 때문이다. 협회는 업계를 위해 다양한 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가장 중요한 공시업무와 개인투자조합 관리 등의 교육을 할 수가 없다. 이 업무에서 배제가 돼 교육을 위한 정보를 확보하기조차 어렵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민간 콘트롤타워 기능을 협회가 하지 못한다면 관리되지 않는 AC의 사례기사들은 줄지 않을 것이다.

분명히 솔루션은 있다. 문제에 대해 방어적 대응만 할 것이 아니라 정확히 문제를 정의하고 근본적인 솔루션을 찾아 용기있게 실행해야 한다. 문제가 쌓이고 근본적인 해결방법을 실행하지 않는다면 시간이 지날수록 통제하기 어렵다.

전화성 한국액셀러레이터협회장·씨엔티테크 대표 glory@cntt.co.kr


김현민 기자 min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