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화재가 5000억원 한도로 후순위채 발행을 결정했다. 지속되는 고금리 상황에도 업계 상위권의 건전성을 유지할 전망이다.
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메리츠화재는 지난달 말 이사회를 열고 연내 5000억원 한도의 후순위채 발행을 승인했다.
이번 발행은 메리츠화재가 지난 2019년 발행한 후순위채의 차환 목적이다. 메리츠화재는 오는 4월과 11월 각각 2500억원의 후순위채에 조기 상환(콜옵션 행사)이 예정돼 있다.
일반적으로 보험사는 후순위채나 신종자본증권 등 자본성증권을 활용해 자본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비율(K-ICS 비율)을 관리한다. 자본성증권은 갚아야 할 빚이지만 만기가 길고 차환을 조건으로 발행되는 특성 탓에 보험업법상 자본으로 인정된다.
예컨대 10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에 상환일이 도래하면 보험사는 상환과 동시에 1000억원의 새로운 후순위채를 발행해 자본을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최근에는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면서 차환시 발생하게 될 이자비용 증가에 대한 우려나 부채 조정 등의 목적으로 상환만 결정하는 보험사도 나오고 있다.
실제 시장금리 지표로 활용되는 국고채 10년물 평균 금리가 2019년 2월말 1.987%에서 올해 2월말 3.475%까지 오른 상태다.
지난 1월엔 동양생명과 DB생명이 각각 2000억원과 300억원의 후순위채를 상환하면서 차환 발행을 실시하지 않았다. 건전성 지표인 K-ICS 비율이 일부 축소되더라도 비용을 줄이기 위한 선택으로 해석된다.
메리츠화재는 차환 결정으로 올해도 업계 상위권의 건전성을 유지할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3분기 기준 메리츠화재의 K-ICS 비율은 230.8%로 자산 기준 손해보험 상위 5개사(삼성화재·현대해상·DB손보·KB손보·메리츠화재) 중 2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삼성화재의 K-ICS 비율이 263.3%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DB손보(214.5%), KB손보(194.0%), 현대해상(172.1%) 순이다.
메리츠화재 관계자는 “현재 당사의 K-ICS 비율은 우수한 편”이라며 “시장금리의 하락 예상 및 보험부채 할인율 조정 등 향후 금리 환경의 변동성을 고려해 올해 후순위채 발행에 대한 한도 승인을 진행했다”고 말했다.
한편 K-ICS 비율은 보험사의 보험금 지급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가용자본을 요구자본으로 나눠 산출한다. 금융당국은 150% 이상을 권고하고 있으며 100% 미만시 당국의 관리·감독 대상이 된다.
박진혁 기자 s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