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갈륨 전력반도체 국산화 길 열었다…ETRI·세라믹기술원, 핵심 소재·소자 기술 개발

Photo Image
ETRI 문재경 박사(왼쪽)와 한국세라믹기술원 전대우 박사가 공동연구 개발한 산화갈륨 에피소재와 모스펫(MOSFET) 소자를 살펴보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전력반도체인 산화갈륨 전력반도체 핵심소재·소자 공정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한국세라믹기술원(KICET)과 함께 국내 최초로 3킬로볼트(kV)급 산화갈륨 전력반도체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 소자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전력반도체 소자는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하나지만 95% 이상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이번 기술 국산화는 국가 전략기술 자립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개발한 산화갈륨 에피(결정 기판 위에 방향성을 가지고 성장된 결정막) 소재 기술은 단결정 기판 위에 전도성을 가진 여러 층 박막을 성장시키는 공정이다.

전대우 KICET 박사팀은 금속유기화학기상증착법(MOCVD)으로 고품질 베타 산화갈륨 에피소재 성장기술 국산화에 성공했다.

이 기술은 에피소재 두께를 나노미터(㎚) 크기에서 마이크로미터(㎛) 단위까지 자유롭게 만들 수 있다. 전자농도도 광범위하게 조절할 수 있어 양산기술에 한층 가까워졌다.

Photo Image
ETRI와 한국세라믹기술원 공동연구진이 개발한 전력반도체 모스펫(MOSFET) 소자.

아울러 개발에 추가 성공한 산화갈륨 소자공정 기술은 에피소재 기판 위에 미세 패턴 형성, 저손상 식각, 증착 및 열처리 공정 등으로 전력반도체 소자를 제작하는 웨이퍼 스케일 집적화 공정기술이다.

문재경 ETRI 박사팀이 한국세라믹기술원 개발 에피소재를 사용해 성능이 더 우수한 3㎸급 모스펫 소자를 개발했다.

연구진은 누설전류를 피코암페어(㎀·1조분의 1A) 수준으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에피구조를 개발했다. 또 항복전압을 3㎸ 이상으로 높일 수 있는 소자·공정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

연구진은 이번 산화갈륨 에피소재와 전력반도체 모스펫소자 기술이 기존 전력반도체보다 5분의 1 수준까지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산업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산화갈륨 반도체는 전력반도체 소자 크기를 50% 이하로 소형화 가능하고 전력변환 효율도 높다. 성능을 10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고, 소자 가격 경쟁력은 20배 이상 높일 수 있다.

전력변환 효율은 높이면서, 인버터·컨버터 시스템 크기도 10% 이하로 줄일 수 있다.

ETRI는 4㎛ 두께의 도금공정을 이용한 세계 최초 4인치 산화갈륨 전력반도체 MOSFET 소자 공정 및 상용화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문재경 박사는 “산화갈륨 전력반도체를 시스템에 적용하는 시기를 한층 더 앞당길 것”이라며 “세계 최초로 수㎸급 산화갈륨 전력반도체 MOSFET 소자를 상용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