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타트업에서 기후테크 분야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5%도 못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후테크 스타트업 국내 투자 규모도 주요국 평균 대비 7분의 1에 이하 수준에 머물렀다. 탄소중립이 시대적 과제로 떠오른 만큼 정부의 인센티브 도입, 규제 컨트롤타워 설정 등 기후테크 스타트업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아산나눔재단과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은행권청년창업재단(디캠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등은 1일 서울 영등포구 63빌딩에서 2023 스타트업코리아! 정책 제안 발표회를 개최했다. 매년 스타트업 생태계 연구를 발표하는 네 기관은 올해 국내 기후테크 스타트업 육성 방안을 주제로 삼았다.
이날 행사에서는 문상원 삼정KPMG 상무가 기후테크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후테크 스타트업 수는 362개로 전체 스타트업 7365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9%에 불과했다. 지난해 국내 기후테크 기업 투자 규모는 약 1조520억원으로 상위 10개국 평균 7조9280억원을 크게 하회했다.
문 상무는 국내 기후테크 산업이 해외에 비해 뒤쳐진 원인으로 규제를 꼽았다. 세계 상위 100대 기후테크 스타트업이 국내에서 사업을 추진할 경우 34개 스타트업이 규제로 인해 아예 사업이 불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예를 들어 푸드테크의 세포배양육은 생산·판매·안전관리 규정이 없어 우리 기업이 높은 기술력을 보유했음에도 국내에선 사업을 할 수 없다.
문 상무는 기후테크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기후테크 산업 내 인센티브 도입, 기후테크 스타트업 특화 정책 설계, 기후테크 관련 규제 관리·수립·개선 구조 체계 변경 등을 제시했다. 문 상무는 “혁신 기술과 서비스를 이끄는 기업에 인센티브를 부여해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이 국내에 구축되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산업 형성 초기에 기술을 시험할 기회가 충분하지 않은 스타트업과 기술 실적이 증명된 투자사의 간극이 큰 만큼, 국가가 기술 실증 지원과 기후테크 공공조달을 확대에 나서야 한다고 설명했다. 문 상무는 각 부처간 규제 영역이 복잡하게 얽힌 만큼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와 민관 합동 얼라언스 수립도 촉구했다.
장석환 아산나눔재단 이사장은 “이번에 발표한 기후테크 산업 육성·활성화 방안에 따라 정부가 기후테크 산업의 공공재적 특성을 이해하고 실질적인 지원과 구체적인 정책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