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일산 테크노밸리 착공…경기북부 신성장 동력

26일 착공식 개최, 본격 사업 착수…지역경제 활성화 구심점 역할
경기북부특별자치도의 중심북부…대개발 핵심 기대

Photo Image
지난 26일 오후 고양일산테크노밸리 착공식 현장에서 이동환 고양시장, 오후석 경기도 행정2부지사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바이오 클러스터와 4차산업혁명 등 경기북부 신성장동력이 될 고양일산 테크노밸리가 지난 26일 첫 삽을 떴다.

경기도와 고양시 등은 이날 오후 착공식을 열고, 부지조성 공사를 시작했다.

이날 고양일산 테크노밸리 현장에서 열린 착공식에는 오후석 경기도 행정2부지사를 비롯해 이동환 고양시장, 국회의원, 김세용 경기주택도시공사 사장, 고양도시관리공사, 김용환 종근당산업 대표 등 기업인, 서홍관 국립암센터 원장 등 의료인과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했다.

고양일산 테크노밸리는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법곳동 일원 87만2000㎡(약 26만평) 규모 부지에 사업비 8500억원을 투입해 조성하는 바이오·메디컬, 미디어·콘텐츠, 첨단제조 분야 첨단전략 산업단지다.

이곳에 첨단산업 입지기반을 조성해, 혁신기업을 유치하겠다는 것이다. 경기도와 고양시, 경기주택도시공사, 고양도시관리공사가 공동 사업시행자로 나섰고, 사업비만 8500억원을 투입한다.

이 사업은 경기도가 2015년 발표한 '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에 따라 추진됐다. 경기남부보다 상대적으로 낙후된 경기북부 지역의 불균형 문제 해소하기 위해 테크노밸리를 조성해 성장시키겠다는 구상이다.

경기도는 착공식을 시작으로 2024년 말 용지공급, 부지조성 공사를 거쳐 2026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고양시는 이미 MBC, JTBC, EBS 등 다양한 방송·영상시설이 모여 있고, 국립암센터·일산병원·동국대병원·명지병원·일산백병원·일산차병원 등 6개 대형 종합병원이 있어 의료·제약시설과 인적자원이 풍부하다. 이런 강점을 활용해 '바이오 분야 국가첨단전략산업단지' 지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국가첨단전략산업단지로 지정되면 수의계약을 통해 산업시설 용지를 조성원가 수준으로 공급할 수 있고, 여러 세제혜택도 줄 수 있어 기업유치에 유리하다.

오후석 도 행정2부지사는 “고양시가 갖춘 인적자원과 연관산업 인프라 및 우수한 교통성 등 최적의 입지 여건을 활용해 고양일산 테크노밸리를 세계 1위 바이오 클러스터인 미국 보스턴 바이오 클러스터를 압도하는 '가장 혁신적인 공간'으로 발전시킬 것”이라며 “고양일산 테크노밸리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의 비전을 향한 경기북부 대개발의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고양=김동성 기자 estar@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