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청 기업 밀착 지원 통했다...기업 러시에 연내 10조원 투자 유치도 가능

Photo Image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8월 전북 군산새만금컨벤션센터(GSCO)에서 열린 '새만금 이차전지 투자협약식'에서 참석해 축하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오진 국토교통부 제1차관, 명노현 LS 대표, 윤 대통령, 구자은 LS그룹 회장, 허제홍 엘앤에프 의장. 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연합뉴스

1년여 만에 6조 6000억원의 투자를 유치한 새만금개발청의 적극행정이 재조명되고 있다. 잼버리 사태에도 흔들림없는 기업 밀착 지원으로 투자 철회는 커녕 기업들의 러시가 이어졌다. 연내 10조원 달성까지 눈 앞에 둔 상태다.

23일 새만금개발청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 취임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6조 6000억원 투자 유치 성과를 거뒀으며 이들 중 철회나 취소된 곳은 한 곳도 없다. 모두 내년 상반기까지 계약체결이 예정됐다. 이달 말 해외 기업으로부터 1조 2000억원의 추가 투자를 유치하는 것도 사실상 확정됐다.

새만금 산단에 기업들의 러브콜이 쏟아지는 이유는 매립을 통한 확장성 등 부지 자체의 장점과 함께 새만금청의 기업 밀착지원 덕분이다. 걸림돌 해소 사례들이 회자되며 계약을 체결한 기업들의 추가 투자 검토도 이어지고 있다.

대규모 전력공급 확보가 대표적인 사례다. 지난 해 하반기 국내 대표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업체인 성일하이텍이 한전과 전력공급 계약을 신청했으나 전력 공급량 부족으로 전력공급예정시점이 공장 가동시점보다 6개월 늦은 내년 하반기로 잡혔다. 새만금청은 전력수요와 공급계획 상황을 파악, 산업부 및 한전본사를 수차례 협의해 한전의 전력공급계획을 앞당겼고 변전소 위치 및 면적변경 등 계획변경 사항에 발빠르게 대처했다.

새만금 산단 역대 최대 규모 투자인 한중합작기업 에코프로·SK온·GEM(1조 2000억원)과 LS의 그룹(1조 8000억원) 투자도 적극 행정의 결과물이다. 개발 계획 변경을 통해 부족한 부지를 확보한 것이다.

2개 그룹은 단일 공장부지를 10만평씩 요구했지만 새만금 산단에 남은 부지는 4차선 도로로 인해 공장부지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였다. 도로에는 상·하수도 시설이 있어 철거·재시공까지 해야 하는 만큼 농어촌공사에서도 부지를 제공하기가 쉽지않은 상황이었다.

새만금청과 농어촌공사는 타 지역 산단사례, 내부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개발 및 실시계획 변경 가능성을 타진했다. 부지 합병을 위한 도로 폐쇄 면적(약9000평)을 산업시설용지로 변경하고 유상 공급할 수 있도록해 사업시행자의 손실을 방지하고, 기업은 합병예정 부지를 단계적으로 매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폐도로부지에 설치된 시설물의 철거여부는 기업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해 기업의 불필요한 철거 부담까지 완화했다. 해역이용협의 및 개발·실시계획 승인 등 행정절차를 해양수산부 등 관계기관과 수차례에 걸친 사전협의 등을 통해 인허가도 6개월 이상 단축했다.

착공시기 단축에 따라 잔여 산업용지(3·7공구) 공급시기도 2026년에서 2024년 하반기로 1년 이상 단축할 수 있도록 매립사업도 서두르고 있다.

기업들의 러시에 맞춰 새만금청은 새만금 산단을 수출 전초기지로 만들기 위해 기본계획부터 재수립할 예정이다. 관련 용역은 내년부터 시작한다. 미래 산업 육성을 위해 확장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첨단 전략 산업, 글로벌 푸드, 컨벤션 등 3대 허브를 제시할 방침이다.

김경안 새만금청장은 “다른 산단은 조성은 국토부가 인허가는 지자체가 하는 식으로 흩어져 있지만 새만금은 청이 시작부터 완공까지 모든 과정을 밀착해서 지원한다”면서 “새만금청은 직접적인 재정을 투입하지 않지만 기업이 원하는 소리를 귀기울여 실질적인 규제개선과 적극적인 행정지원으로 제도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 국내 산업 거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보경 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