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자치구 스마트도시 전담조직 운영은 14곳…명칭 '제각각'

Photo Image

서울시 자치구 중에 스마트도시 전담조직을 운영하는 곳은 총 14곳으로 나타났다. 일부 자치구는 전담조직이 없거나 담당 부서나 업무 명칭도 제각각이다.

12일 서울디지털재단이 서울시 25개 자치구 스마트도시 전담조직을 조사한 결과 과나 팀 단위로 스마트시티 전담 조직을 둔 자치구는 14곳으로 확인됐다.

전담조직 명칭은 스마트도시과가 7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외에도 스마트도시기획팀, 첨단도시팀, 스마트행정팀 등의 명칭으로 운영하기도 했다.

자치구 중에서는 선도적으로 스마트도시 담당 조직을 국 단위로 격상하고 그 아래 스마트도시 관련 업무를 팀제로 편제해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 구로구는 스마트환경국 아래 스마트도시과를 두고 스마트기획팀, 스마트조성팀, 스마트전산팀, 스마트통신팀, 스마트관제팀을 구성했다.

일부 자치구에서는 스마트시티와 정보화 업무 기능을 통합 운영하면서 전담조직 없이 담당만 둔 것으로 조사된 곳도 7곳이었다. 전담조직 없이 홍보담당관이나 행정국, 기획예산과나 홍보전산과 아래 스마트도시나 정보화업무를 둔 곳도 있는 것으로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자치구에서 정보화·스마트도시 담당 업무가 명확하지 않고 명칭이 '스마트' '디지털' '정보화' '전산운영' 등 제각각인 것도 관련 업무 혼란을 야기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지역정보화와 스마트도시는 신기술을 바탕으로 시민 삶의 향상이라는 목표는 같지만 추진방식에서 서로 접근방식이 다르다고 지적했다. 지역정보화는 효율적 행정정보 전달이 중심이고, 스마트도시는 도시 참여자간 광범위한 협력을 바탕으로 혁신 창출이 핵심이다.

기초자치단체에서 추진체계가 제대로 정립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추진체계 정립으로 기존 지역정보화 업무는 물론이고 스마트도시 정책과 사업 추진 등의 신규 사업 등도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강요식 서울디지털재단 이사장은 “관련 업무 담당자와 업무 협조를 요청할 때 바로 연락할 수 있는 부서나 조직이 명확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며 “자치구 내에서도 디지털 정보 격차가 나타나고 있는데, 관련 추진체계 정립으로 서울시와 자치구 스마트도시 정책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