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인재 양성 주력 분야로 꼽히는 환경산업의 인력 통계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이어지면서 환경부가 통계 고도화 및 실태조사에 나섰다.
환경부는 '환경산업 가치사슬 인력구조 조사·분석 연구'를 실시한다고 10일 밝혔다.
녹색산업 융복합 분야를 포함해 환경산업의 범위는 확장되고 있지만 새로운 인력정책 수립에 필수적인 인력통계 인프라는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기존의 환경산업 인력통계는 세부적인 인력구조를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어 실질적인 인력 구조 실태 파악을 위한 조사가 필요하다.
환경부는 가치사슬 단계별 인력구조 조사 및 분석이 필요하다고 보고 관련 조사에 착수했다. 즉 환경산업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활동, 기능을 연계해 여기에 필요한 인력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오염물질 배출 저감 관리와 같은 전통적인 환경산업은 성장이 정체됐으며 환경 서비스 시장 중심으로 전환하는 중이다. 정부도 환경 분야의 가능성과 중요성을 고려해 환경을 인재 양성이 필요한 5대 분야 중 하나로 지정하고 인재양성전략을 세운 바 있다.
특히 환경부문 인력 수급에 대한 실태조사 필요성을 제기했는데, 환경학과 축소로 신규 인력 공급이 부족하고 특성화고도 환경 관련 학과가 없어 인력 채용의 어려움이 있다. 환경 전문가 인력 풀 관리, R&D 인력의 안정적 확보 필요성도 거론된다.
환경부는 “미래 사회는 대내적으로는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 대외적으로는 기휘위기에 대비한 저탄소 기조, 디지털 전환으로 빠른 변화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국가경쟁력을 유지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환경산업 분야의 우수한 인력 확보를 통한 경쟁력 확보가 중요한 과제”라고 이번 조사의 의의를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환경산업의 핵심부문별 인력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전문가 자문과 산업 현장의 현황을 반영해 핵심부문별로 가치사슬 단계를 정의하는 것부터 실시한다. 기업 차원에서 활용하는 직무 분류도 추가적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핵심부문 실태조사도 자원순환 분야를 중심으로 시범적으로 실시한다. 자원순환 분야의 200여개 업체의 인력 규모, 가치사슬별·직무별·학력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다.
세부 인력 통계 산출과 관련된 정책 제안을 위해 인력 구조 현황과 수요 특성을 도출하며, 인재양성 정책 수립을 위한 시사점도 제시할 방침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통계에서는 인력 수급 현황이 괜찮은 것 같아도 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 역량과의 미스매칭이 있어 직무능력 표준화, 통계 세분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조사를 실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