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명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2단계로 나눠 추진

9년→5+4년으로 분할 실시
1단계 6065.8억원 예산 책정
내년부터 77만여명 빅데이터 구축

Photo Image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 (자료=보건복지부)

9년간 약 1조원 규모 추진을 목표했던 100만명 규모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이 2단계로 분할해 실시하게 됐다. 1단계로 5년간 6065억8000만원 예산이 확정됐는데 추진 결과에 따라 2단계 사업 예산과 기간을 향후 결정하게 되는 구조다.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질병관리청은 29일 열린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이번 예비타당성 조사사업이 이같이 조정돼 통과됐다고 밝혔다.

사업기간 9년은 5년(1단계)+4년(2단계)으로 분할해 실시하게 된다. 1단계에서 77만여명 바이오 데이터를 구축·개방하기로 했다. 1단계 사업은 내년부터 2028년까지 실시하며 2단계 사업 일정과 규모는 정해지지 않았다.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은 정밀의료 기술개발 등 의료혁신과 바이오헬스 혁신성장을 위해 100만명 규모 임상정보, 유전체 등 오믹스 데이터, 공공데이터, 개인보유건강정보를 통합해 구축·개방하는 연구개발 사업이다. 지난 2020년 5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2만5000명 규모 시범사업을 실시했었다.

내년부터 돌입하는 1단계 사업에서는 질환자 18만7000명, 일반인 58만5000명 등 총 77만2000명을 모집한다. 자발적 참여와 동의에 기반해 혈액, 소변 등 검체를 채취하고 임상정보, 유전체 등 오믹스 데이터를 생산하게 된다. 여기에 공공데이터와 개인보유 건강정보를 연계해 개인 중심 통합 데이터를 구성하고 지속 관리하게 된다.

참여자는 병원, 건강검진센터 등 참여자 모집기관을 이용해 자신의 혈액, 소변 등 검체와 임상정보 등 바이오 데이터를 이번 사업의 바이오뱅크와 데이터뱅크에 기탁하게 된다.

검체 관리를 총괄하는 바이오뱅크는 질병관리청의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이 담당한다.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인체유래물은행을 설립해 데이터 관리를 총괄하는 데이터뱅크를 맡게 될 예정이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바이오 빅데이터 플랫폼 인프라를 구축해 분석환경을 지원하게 된다.

의료·산업·학계 등에서는 정밀의료 기술, 혁신 신약, 디지털 헬스 신제품·서비스 개발 등 연구 목적에 따라 데이터뱅크를 이용해 필요한 데이터를 원스톱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그동안 보유 기관별로 데이터 제공 신청 후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심의를 거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돼 거래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의료계 한 관계자는 “임상 현장에서 해외 환자 빅데이터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데 정작 국내 환자 데이터는 접근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며 “임상 빅데이터 활용 수요가 계속 커지고 있는데 이번 사업으로 그동안의 갈증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은성호 보건복지부 첨단의료지원관은 “100만명 규모 한국형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을 본격 시작하게 돼 바이오 강국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마련됐다”며 “바이오 데이터 주권을 확립하는 국가사업에 국민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