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단장 김준하)은 광주 시민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시대에 대비해 AI 기반 챗봇인 '챗 GPT'에 대한 세 번째 무료 실습 교육을 제공했다고 27일 밝혔다.

김준하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장은 27일 사업단 대회의실에서 시민 30여 명을 대상으로 3시간 동안 '챗 GPT' 활용 방법을 교육했다. 이번 강의는 세 번째 무료 교육으로, 광주시청 공무원 등 공직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챗 GPT 실습 이후 시민들의 강의 요청이 이어지면서 개최했다. 누적 교육생 100여명을 기록했다.
이날 강의에서는 시민들이 개인용 컴퓨터로 챗 GPT를 활용한 숙제 콘텐츠, 발표자료 콘텐츠, 맞춤형 영어 번역, 정책기획 제안, 데이터분석, 요약, 표, 그래프, 게임 파이썬 코딩, 검색 및 논문 요약 등을 하며 챗 GPT 학습방식·작동원리를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김 단장은 “코딩 실력 보다 맥락을 이해하는 능력이 더 중요하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는 결국 질문하는 방법을 남들보다 먼저 공부한 사람이다”면서 “그만큼 챗 GPT를 잘 활용하려면 질문을 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GPT-4를 활용해 창의적인 콘텐츠 생성, 시, 랩, 소설, 기사 등을 단 몇 초 만에 완성하는 실습 교육을 가져 강의 참석자들로부터 감탄을 자아냈다.
김 단장은 “챗 GPT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와 매개변수를 학습시킨 AI다. GPT-3는 몇 개의 키워드만 넣으면 대화의 문맥을 파악해 사람처럼 대화하거나 창의적인 답변을 내놓을 수 있으며, 기사나 수필 및 소설 등을 창작하기도 한다”며 “GPT-3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GPT-4는 8배 증가한 2만5000개의 단어를 처리하는데 훨씬 더 깔끔한 대화 및 요약, 더 많은 형용어나 의성어 등을 추가한 것이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 단장은 “AI 시대 미래는 기다림 없이 다가오는데, 미래에 이용당할 것인가 미래를 이용할 것인가는 여러분의 손에 달려있다”면서 “챗 GPT 시대는 학습의 영역을 줄이고, 교육의 영역을 늘려야 한다”며 미래의 방향을 제시했다.
김 단장은 “'직업의 시대'에서 '업직의 시대'로 바뀐다”면서 “다양한 업들과 융합하고 연결하게 되는데, 과거 정해진 한 방향으로 무한 경쟁하던 시대에서 창의·융합·소통하며 잘하고 좋아하는 방향으로 연결하는 업직의 시대로 전환된다”고 강조했다.
이번 강의를 수강한 시민들은 챗 GPT 활용 방법을 터득하며 미래를 설계하는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평가했다.
이날 강의를 수강한 명진 광주시의원은 “챗 GPT를 활용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표, 그래프, 게임 파이썬 코딩, 논문 요약 외에도 시, 랩, 소설 등 창의적인 콘텐츠도 몇 초 만에 생성 가능해 놀라웠다”면서 “제 분야에도 챗 GPT를 활용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고, 앞으로 다양한 업들과 융합·소통하는 업직의 시대로 전환되는 만큼 학습의 영역을 줄이고 교육의 영역을 늘려야 한다는 점에 깊은 깨달음을 얻었다”고 말했다.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