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칼럼]토큰 증권의 성공적 안착 방안

Photo Image
정유신 서강대 기술경영대학원장 겸 디지털경제금융연구원장

토큰 증권 기대감이 커지면서 증권, 디지털 자산, 블록체인 업계는 물론 은행업권도 가세해서 시장 선점 경쟁에 나서고 있다. 빈 수레가 요란하다는 비판 섞인 우려도 있다. 그러나 토큰 증권 발행 및 유통과 관계된 모든 업계 합종연횡·컨소시엄 구성으로 토큰 증권이란 신시장 생태계가 조성되고 있다는 점에서 대다수 의견은 우호적 평가를 보이고 있다.

이런 시각에는 싱가포르, 홍콩은 물론 디지털에 보수적 일본도 뛰어들고 있는 점, 지난 3월 씨티은행의 '폭발성장 전망'도 한몫하고 있다.

그럼 어떻게 하면 한국의 토큰 증권이라는 신산업을 성공시킬 수 있을까. 최근 시장에 나오고 있는 '토큰 증권산업의 안착' 논의를 포함, 몇 가지 개인 의견을 피력한다.

첫째 안정적 투자 수요가 중요하다. 토큰 증권은 누가 뭐라 해도 증권인 만큼 투자 수요 확보를 통한 활발한 유통 거래가 핵심이다. 유통 시장 거래가 활발하지 않으면 발행도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상장 시장이어서 '딜레마' 이슈가 있다. 전문 기관투자가 위주로 하면 기관투자가의 위험 회피 성격으로 수요 부족에 빠지기 쉽고, 개인 투자를 활성화하면 자칫 투자자 보호 문제가 불거질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떤 방안이 있을까. 현재 논의되는 소액공모 및 1인당 투자 한도(연간 1000만원) 외 소액투자로 투자 부담이 적다는 점에서 조각 투자와 유사한 크라우드 펀딩을 활용한다거나 대체불가능토큰(NFT) 발행 허용으로 대상 자산 사용권을 부여함으로써 소비자의 관심과 투자 수요를 촉진하는 방안 등을 고려할 만하다.

특히 크라우드 펀딩은 온라인 소액투자플랫폼인 데다 이미 영화 등 문화프로젝트, 비상장 지분, 이익참가부사채의 투자 중개를 통해 토큰 증권의 잠재투자자를 확보하고 있다.

둘째 블록체인과 디지털 기술력 제고다. 토큰 증권은 대상 자산을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디지털화한 후 그 가운데 증권성이 있는 디지털 자산을 증권화한 것이다. 따라서 블록체인과 디지털기술 경쟁력은 토큰 증권산업의 인프라 기반이면서 동시에 대상 자산의 사용자 및 토큰 증권 투자자 접속빈도(Traffic)와 충성도(Loyalty)를 높일 수 있는 핵심 요소다.

최근 신한투자증권과 두나무 블록체인 자회사 람다256, 미래에셋증권과 SK텔레콤의 협력·제휴 등은 그런 점에서 긍정적이다. 다만 이들 기술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민간에만 맡기기보다 정책적 인센티브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관련 기술업체의 적극적 참여 유도를 위해 핀테크펀드 규모 확대, 투자 대상에 블록체인기술과 블록체인 가성비를 높여 주는 웹3.0을 포함하는 방안 등이다.

셋째 대상 자산의 성장성도 빼놓을 수 없는 요소다. 대상 자산 성장성이 약하면 아무리 토큰 증권의 발행·유통 플랫폼 인프라가 잘 갖춰졌다 해도 '팥소 없는 찐빵'이기 때문이다. 어떤 자산이 좋을까. 개인 의견으론 자산의 자체 성장성도 성장성이지만 온라인·디지털 연결에 따른 사용자 수요의 증가, 즉 자산의 디지털 성장 잠재력이 특히 중요하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다양한 대상 자산 가운데에서도 시공간 제약으로 그동안 잠재 수요가 현실화하지 않은 음원·미술 등 문화예술품, 디지털화로 사용자의 새로운 수요가 늘고 있는 부동산, 디지털화로 맞춤형 수요와 원산지증명이 가능한 농수축산물 등이 유망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업계의 대상 자산 발굴 노력이 기본이다. 그러나 대상 자산 대부분이 투자계약증권으로 발행되는 데서 알 수 있듯 표준화가 어렵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대상 자산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세심한 증권제도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새로운 상품인 데다 비상장이어서 정보가 부족한 점, 사건 사고로 말미암은 토큰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등을 고려하면 토큰 증권에 대한 홍보 및 투자자 교육 강화, 나아가 디지털을 활용한 실시간 토큰 증권정보의 전달시스템 구축 등도 필요하다.

정유신 서강대 기술경영대학원장 겸 디지털경제금융연구원장 ysjung1617@sog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