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보안 유망기술 성장단계 수준...정부 차원 집중 지원·투자 필요

Photo Image

우리나라 데이터 보안 관련 유망기술 대부분은 성장단계 수준으로 이에 대한 집중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원장 정병선)은 미래 핵심 트렌드로 데이터 보안 시대를 꼽고, 데이터 보안과 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KISTEP 10대 미래유망기술'을 선정해 27일 발표했다.

정보기술(IT) 시장분석 및 컨설팅 기관 IDC에 따르면 디지털 전환 시대 도래와 기술 융합 가속화 등으로 인해 데이터가 폭발적인 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오는 2025년에는 163제타바이트(ZB) 규모 데이터가 생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데이터 규모 증가와 함께 경제·정치·군사적 목적 해킹은 물론 데이터 위변조 및 오남용 위험 또한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KISTEP은 데이터 보안 및 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정도가 큰 기술을 후보군으로 도출, 전문가 논의를 통해 주제와 부합성 및 파급효과가 큰 10대 기술을 선정했다.

최종 선정된 10대 미래유망기술에는 △자율 무인 이동체 활용을 위한 인프라 통합 보안 기술 △인공지능(AI) 기반 지능형 사이버 보안 관제 및 자동 대응 기술 △5G/6G 네트워크 보안 기술 △제조(산업) 공급망 및 시스템 보안 취약점 진단 자동화 기술 △프라이버시 강화 데이터 안전 활용을 위한 동형암호 등 기능형 암호 및 응용기술 등이 포함됐다.

또 △메타버스 등 가상환경에서 사용자 보호 및 보안 기술 △양자시대 절대적 데이터 보안을 위한 양자암호 기술 △디지털 신기술 악용 사이버범죄 예방 및 추적기술 △안전한 가상화 환경 활용을 위한 클라우드·엣지 보안 기술 △안전한 디지털 경제 활용을 위한 암호화폐 신뢰성 보장 기술 등도 미래유망기술에 꼽혔다.

논문 및 특허 분석 결과 10개 미래유망기술 대부분은 성장단계에 있으며, 영향력 측면에서는 미국과 유럽이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차별화된 기술 확보전략을 펼쳐야 할 것으로 KISTEP은 분석했다.

양적인 측면(논문 및 특허 점유율)에서는 중국이 앞서고 있으나 질적 측면(논문 및 특허 영향력)에서는 미국과 유럽이 앞서고 있으며, 우리나라 기술 대부분은 중하위권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상대적으로 논문 영향력 및 특허 영향력이 낮은 보안 기술은 정부 차원 지원이 중요하고, 경쟁력이 높아 성과가 예상되는 보안 기술에는 집중 투자가 요구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와 함께 관련 법·제도 개선, 인력양성, 인프라 확보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병선 원장은 “디지털 전환과 더불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데이터와 관련된 보안·보호 이슈는 혁신적인 기술을 민첩하게 선점·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10대 미래유망기술 논문 영향력과 특허 영향력을 고려해 차별화된 기술 선점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인희기자 leeih@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