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디지털 교수·학습통합플랫폼' 사업 전면 중단

교육부가 총 사업비 6000억원 규모의 '디지털 교수·학습통합플랫폼' 구축 사업을 전면 중단했다. 학교와 민간 자율 및 협업에 맡긴다는 취지지만 행정·회계 시스템과의 연계나 교육 데이터 관리·활용은 사실상 어려워졌다. 학교 자율에 맡긴다 해도 공교육 에듀테크 활용 활성화를 위한 품질관리와 데이터 연계·관리·활용 관련 사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와 에듀테크 업계에 따르면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디지털 교수·학습통합 플랫폼' 구축 사업의 재검토를 지시하며 사업이 사실상 중단됐다. 통합플랫폼은 학교 디지털 교육 환경 구축을 위해 콘텐츠, 학습관리시스템(LMS), 학습도구 등을 하나로 연결해 모든 학교에서 사용 가능한 교육 플랫폼으로 기획됐다. 2020년 코로나19로 전국적인 원격수업을 하면서 에듀테크 산업계의 제안에 의해 시작됐다.

학생과 교사가 로그인 한번으로 다양한 교육콘텐츠를 접하고 또 이러한 이력이 그대로 축적돼 향후 평가까지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었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K-에듀통합플랫폼으로, 윤석열 정부에서는 디지털 교수·학습 플랫폼이라는 새로운 체계로 추진됐다.

Photo Image
디지털 교수학습플랫폼(옛 K-에듀 통합플랫폼) 개념도

사업은 정부가 바뀐 후에도 추진되는 듯했다. 그러나 장관이 바뀌면서 결국 통합플랫폼 사업은 기획만 하다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다. 예비타당성 조사만 두 차례 연기되는 등 예산을 받기 위한 기획에만 3년이 허비된 것이 주요인으로 풀이된다. 그 사이 시·도 교육청에서는 플랫폼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자체 사업을 추진하기도 하면서 정부 주도의 대형 플랫폼 수요는 다소 꺾였다. 서울시교육청은 최근 민·관·학 다자간 협약을 맺고 원격수업 플랫폼인 '뉴쌤'을 사용자 맞춤형 인공지능(AI) 기반 교수학습 플랫폼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교육부 계획대로라면 지난달까지 구축을 위한 정보시스템마스터플랜(ISMP) 등을 마무리하고 새해부터 본격적 개발에 착수해야 한다. 2024년 부분 개통, 2025년 완전 개통을 목표로 잡았으나 당장 현장에서 요구하는 서비스를 반영하기엔 구축 시점이 이미 늦어졌다.

대규모 예산에 대한 시선이 좋지 않은 점도 발목을 잡았다. 구축비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유지를 위한 운영비도 연간 수백억원에 달한다. 부총리 임명 이전 운영했던 아시아교육협회 이사장 활동과 이로 인해 불거진 에듀테크 업체 후원 및 이해충돌 우려 등도 사업 추진의 부담 요인으로 풀이된다. 민관협력 형태로 추진되는 디지털 교수학습통합플랫폼에는 에듀테크 업체 참여가 불가피하며, 일부 업체가 아시아교육협회에 후원 등을 한 이력이 있다.

교육부가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게 되면서 개별 학교나 교육청 단위 에듀테크 활용 폭에도 제약이 따를 것으로 우려된다. 일정 수준의 품질관리나 데이터 정의, 관리 등과 시스템 표준 등이 없으면 사용하고 있는 에듀테크 또는 콘텐츠만 일부 사용하는 데 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의 디지털교육기획관이 신설된 후 관련된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가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첨단 에듀테크에 대한 교육현장 활용 의지가 강한 만큼 새로운 혁신생태계 구성안이나 정책이 나올 가능성도 제기된다.

애초 디지털 교수학습통합플랫폼 구축에 들어가는 비용 등을 일부 부담하기로 한 시·도교육청은 자체적으로 플랫폼을 구축, 운영에 들어갔다. 교육업계 관계자는 “교육 플랫폼의 공통 로그인, 상용 표준만 갖추면 통합플랫폼과 지방자치단체 시·도교육청의 데이터 교류는 어려운 일이 아니다”면서 “자칫 외산업체에 공교육을 통째로 넘길 수 있는 만큼 후속 대응을 서둘러야 한다”고 밝혔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