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포집·저장·활용(CCUS) 분야가 연구개발(R&D)과 상업화에 적극 투자할수록 양질의 고용창출 효과가 발생하고 국가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노동연구원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CCUS 기술 상용화에 따른 경제·고용효과 분석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연구원은 2050년 탄소중립 시점까지 연구개발 투자 시나리오를 △기본(Base) △급진(Radical) △보수(Conservative)로 구분해 예측했다. 또 CCUS를 상용화할 경우 기업 설비투자액을 도출한 후, 고용효과를 분석했다.
'기본' 투자를 가정한 시나리오에서는 2021∼2030년까지 누적 고용창출효과 1만7628명, 2040년까지 4만2384명, 2050년까지 4만2804명으로 총 고용효과는 약 10만2816명으로 추정됐다. 또 '급진' 투자의 경우 2050년까지 총 15만3637명으로 추산됐고 '보수' 투자를 가정할 경우 총 7만6385명의 고용이 창출될 것으로 예상됐다.
향후 고용 구조는 단순 기능직은 감소하고 기술직은 증가, 연구개발직은 CCS에서 유지된다는 의견을 제외하고 증가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고용 환경 변화는 전 분야에서 유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CCS의 경우 토목·건축에서 고용안정성은 감소하고 새로운 CCU 기술 상용화의 경우 고용의 질은 다소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연구원은 CCUS 산업이 전방연관 효과가 큰 산업으로 연구개발 및 상업화 투자 등 지원정책을 적극 추진할 경우 향후 국가 경제에 크게 기여하고 양질의 고용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CCUS 기술 산업화를 위한 기술 개발,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측정과 인정 기준 설정 등에 고급인력 공급이 요구된다”면서 “감소가 예상되는 단순 기능직 근로자의 전직 지원을 위한 고용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선진국과 큰 기술 격차가 존재하며 초기 개발 단계인 경우가 많아 정부의 과감한 기술 개발 지원과 투자가 필요하다”면서 “민간 투자를 유도하고 경제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준희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