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 사이 공유 전동킥보드로 대표되는 '라스트 마일 모빌리티 서비스'가 등장하며 짧은 거리를 손쉽게 이동할 수 있는 교통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들은 한 번에 한 명의 이용자를 수송한다는 측면에서 개인형 이동 수단 즉 '퍼스널 모빌리티(PM)'로 불리기도 한다.
갑자기 이용이 늘면서 불거진 사회적 논란이 해소되려면 넘어야 할 산이 아직 많다. 주무부처와 국회를 중심으로 안전과 질서에 중점을 둔 PM 관련 정책이 법제화되고 있다. 동시에 대중교통이 충분히 촘촘하지 못한 수도권 외곽 및 지방 도시에서 단거리 이동의 보완재로서 PM의 가능성이 확인되고 있다.
수도권 신도시는 대도시에 비해 대중교통 운행 밀도가 낮아 주요 간선 교통망인 도시철도, 광역버스와 거주지 간 거리가 애매한 경우가 많다. 특히 지방 도시의 경우 대도시로의 이주, 저출산 고령화 등으로 인한 자연적 인구 감소로 인해 대중교통 이용자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이는 다시 대중교통 운행 축소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져 불편을 가중한다.
해당 지역 거주자는 불가피하게 자가용을 더 많이 이용할 수밖에 없고 이는 도로정체, 주차공간 부족 등 만성 교통문제로 이어진다. 그렇다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로나 주차장을 더 늘리는 것은 정답이 아닐 수 있다. 오히려 '더 많은 도로가 건설되면 그만큼 교통량이 증가한다'는 '루이스-모그리지' 명제가 성립되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에 대한 해법을 최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에서 발견할 수 있다. 국토부는 2035년까지 다양한 교통수단, 정보를 연계함으로써 'K-MaaS(Mobility as a Service)'를 마련한다. 단일 플랫폼에서 최적경로 안내, 예약 결제, 통합 정산 등이 가능한데 민간이 운영하는 PM까지 포함했다.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등 PM이 일상에서 대중교통을 상당 부분 보완하고 대체재로 활용되고 있는 점에 주목해 이를 정책에 반영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대중교통 환승 시스템에 민간에서 운영·관리하는 PM이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갈 수 있도록 요금 지원방안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자체가 관할하는 결제, 정산 과정에서 대중교통 환승 할인에 준하는 혜택을 제공하고 참여하는 PM업체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이관받아 교통정책 수립에 반영하는 것이다.
해당 데이터를 플랫폼에 적용하면 대중교통과 연계한 최적 이동경로 설정이 가능하고 불편을 감수하는 주민에게 통합 정기권 등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정책적 배려도 뒤따를 수 있다. 이동 불편을 겪는 국민이 생기지 않도록 정부가 PM을 대중교통 범주 안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정부 구상대로라면 궁극적으로 전국 단위의 MaaS 플랫폼이 구현되고 사용자에게 스마트한 이동 경험을 선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지자체와 여러 모빌리티 사업자는 각자 영역에서 시스템 고도화에 전력을 다해야 한다. 빅데이터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스마트 모빌리티 통합 플랫폼 구축에도 힘써야 한다. 특히 단순히 교통수단 간 유연한 연결고리를 마련하는 것을 넘어서서 같은 이동 수단이라도 지역별로 서로 다른 운용의 미를 발휘할 수 있도록 통합적인 구상과 창의적인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
통합 MaaS 플랫폼의 가치는 편리한 이동의 삶을 제공하는 스마트 시티 로드맵 실현을 통해 완성될 수 있다. 다양한 상황적 시나리오로 데이터 기반 모빌리티 관제 시스템 고도화를 위해 노력해 온 PM의 노하우가 담긴 통합 결제 정산 시스템의 성공적인 안착을 기대해 본다.
이승환 휙고 CTO lee.shw@hwikgo.com
-
손지혜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