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메타가 2004년 창사 이래 처음으로 구조조정에 착수했다. 세부 내용을 보면 채용을 동결하고 인력을 재조정하며, 저성과자는 퇴사시키되 후임자를 뽑지 않고, 성장하고 있는 사업부를 포함해 모든 부서의 예산을 10% 이상 줄인다는 것이다.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다른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도 인원 감축에 나섰다. 기존 사업을 면밀하게 분석해서 재조정하고, 추진하고 있는 신규 사업은 진행 속도를 조절하며, 신규 인력 채용은 대폭 줄이겠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인력 구조조정뿐만 아니라 생산성 향상과 수익성 개선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혁신에도 과감한 행보를 보였다. 아마존은 물류창고를 줄이고, 구글은 픽셀북 차기 제품 개발을 중단하고, 메타는 스마트워치 사업을 전격 접기로 했다. 스냅은 출시 4개월 만에 셀카 드론 사업을 철회했다.
이러한 빅테크 기업들의 전례 없는 대대적 구조조정은 경제위기 속에서 사실상 플랫폼 대기업의 고속 성장시대 종식을 의미한다. 올해 들어 9월 말까지 메타의 주가는 60% 이상 하락했다. 애플 -21%, MS -30%, 구글 -34%, 아마존 -31%를 기록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팬데믹을 겪으면서도 시장에 유동성이 넘쳐나고, 주식 시장은 연일 최고가를 경신했다. 미디어는 매일같이 유니콘 기업의 탄생과 데카콘·헥토콘 기업들의 치솟는 기업가치 기사를 쏟아냈다. 개발자들의 연봉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스톡옵션과 주식투자로 말미암은 성공 신화가 여기저기서 들려왔다. 불과 얼마 전까지도 그랬다.
영원할 것 같던 분위기는 최근 급격히 달라졌다. 금융위기 이후 각국이 시행한 금융완화 정책은 전례 없는 하이퍼인플레이션(hyperinflation)으로 되돌아왔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은 에너지·식량 가격을 끌어올렸다. 대책으로 미국이 단행한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과 고강도 긴축정책은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모든 나라의 경기침체를 가속화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는 국내도 예외가 아니다. 네이버와 카카오의 주가는 연초 대비 50% 가까이 하락하며 27% 떨어진 코스피보다도 훨씬 더 많이 하락했다. 유니콘 특례상장 1호로 기대를 모으던 쏘카는 몸값을 대폭 낮추며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지만 불과 1개월여 만에 공모가 아래로 40% 이상 추락했다.
스타트업의 기업가치도 고평가됐다는 우려가 빠르게 퍼졌다. 투자 열기는 식고, 벤처캐피털은 돈줄을 죄기 시작했으며,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스타트업 생태계는 패닉 상태에 빠졌다. 힘의 균형이 확실하게 투자자 쪽으로 넘어갔으며, 이로 말미암아 펀딩은 어렵고 기업가치는 앞으로도 더 낮아질 개연성이 높다.
대표적인 사례로 세계 최초의 BNPL(Buy Now, Pay Late) 서비스 플랫폼인 스웨덴 'Klarna'는 지난해 67조원으로 평가된 데카콘 기업이었지만 올해 7월에 무려 85% 하락한 5조6000억원의 기업가치로 자금을 간신히 조달했다.
딜로직(Dealogic)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7월 말까지 글로벌 M&A 시장 규모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30% 감소한 2조4000억달러다. CB인사이트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글로벌 벤처 투자자금은 2501억달러로 지난해의 40% 수준이다.
전 세계 테크기업 투자 시장을 분석하면 미국과 아시아가 유럽에 비해 훨씬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다. 한편 캐나다와 아프리카는 투자가 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유럽도 본격적으로 금리 인상에 나서면서 전망은 매우 부정적이다. 또한 초기 투자에 비해 상장을 앞둔 후기 투자가 어려운 상황이다. 산업별로는 핀테크 분야가 크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디지털 헬스 분야는 아직도 활발하게 투자가 진행되고 있다. 비교적 규모가 큰 테크기업의 상장은 줄줄이 연기하거나 취소됐다. 미국의 IPO 시장은 6년 만에 최저 수준이며, M&A 시장도 급속 냉각되고 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시장 상황을 반영해 기업가치를 대폭 낮추고, IPO가 불발될 것에 대비해 투자계약서의 내용을 훨씬 촘촘하게 쓰기 시작했다.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보면 스타트업 기업가치는 하락했지만 이전 연도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추가 하락의 여지가 있음을 시사한다. 1억달러 이상을 투자하는 메가 라운드가 30% 이상 감소하는 등 상장에 대한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후기 투자(시리즈C 이상)는 가치가 많이 하락했지만 초기 단계인 시드나 엔젤 투자는 오히려 기업가치가 상승한 현상을 보였다.
현재 유니콘기업이 기업가치 하락을 피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허리띠를 졸라매고 당분간 추가 펀딩을 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당장 기업가치가 하락하더라도 생존을 위해 자금을 확보해야만 한다. 이로 말미암아 주식 대신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등 회사채를 활용하거나 투자자의 관심을 끌 만한 대체거래 구조를 고민하는 테크기업도 늘고 있다.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환경에서 단지 채용을 중단하고, 기존 직원들을 내보내고, 신규사업을 중단하는 방어적 버티기는 의미가 없다. 아마존, 구글, 메타, MS 등 빅테크들은 유력 경제학자 영입에 사활을 걸고 있다. 사업 규모나 업계를 불문하고 글로벌 기업들은 불확실한 외부 환경 속에서 성장과 생존을 위한 선제적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이다. 위기 상황을 오히려 좋은 기업을 싸게 살 수 있는 기회로 삼겠다는 전략도 펴고 있다.
스타트업을 비롯한 모든 기업이 위기에 처해 있다. 결코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잘 생각해 보면 우리 앞에는 언제나 위기가 있었고, 변화의 소용돌이가 있었다.
인생에서 확실한 것은 죽음·세금·변화 이 세 가지뿐이다. 지금은 위기 상황을 잘 견디고 다시 설 수 있는 회복력(Resilience)과 변화에 대한 적응력(Adaptability)이라는 2개 생존 키워드를 되새겨야 할 시점이다.
유효상 유니콘경영경제연구원장 hsryou6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