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도, 반도체도, 바이오도 미국에서"…美·中 대립에 등터지는 韓

미국 정부가 반도체에 이어 바이오를 집중 육성 산업으로 낙점했다. 자국에 의료, 제약 등 생명공학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는 기업에 각종 혜택을 제공해 중국 의존도를 낮출 계획이다. 미국이 전기차, 반도체에 이어 바이오에서도 중국 견제에 나서면서 애꿎은 한국 기업에 불똥이 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Photo Image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미국 백악관은 지난 12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대통령이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의약품 등 생명공학 분야의 자국 내 연구·제조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예산을 비롯한 구체적 내용은 14일 발표한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번 조치가 바이오 산업에서 중국 의존도를 줄이려는 것으로 분석했다. 코로나19를 계기로 중요성이 높아진 첨단 바이오산업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높이려는 조치다.

백악관은 “미국은 그동안 (바이오산업에서) 해외 원재료 및 생산에 지나치게 의존했다”면서 “바이오 경제는 미국의 강점이자 엄청난 기회”라고 강조했다.

미국이 추진하는 '바이오법'은 현지에 연구개발(R&D) 인프라를 구축했거나 한국에서 미국 제약사를 대상으로 위탁생산(CMO) 사업 중인 기업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창출을 위해 자국 내 생산을 일정 비율 의무화하는 등 조항이 포함되면 그만큼 한국 기업이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현재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모더나 백신을, SK바이오사이언스가 노바백스 백신을 각각 한국에서 위탁받아 생산 중이다.

미국이 바이오법을 비롯해 각종 첨단산업에 자국 우선주의 산업육성 법안을 잇달아 도입하면서 한국 기업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현대차는 미국이 지난달 전격 시행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직격타를 맞았다. IRA은 일정 비율 이상 미국산 배터리와 핵심 광물을 사용하는 전기차에만 최대 7500달러 보조금을 지원도록 규정했다. 전기차를 전량 한국에서 생산하는 현대차는 일본 도요타 등과 비교해 가격경쟁력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

같은 시기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반도체법은 미국에 개발·생산 시설을 구축한 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내용을 담았다. 다만 지원금 수혜기업은 중국에 첨단 반도체 관련 인프라에 투자할 수 없도록 못박았다. 이미 중국에 반도체 생산시설을 구축한 한국 기업들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진퇴양난이다.

한편 미국의 바이오법이 시행 초기 자국 제약 기업들의 사업 차질을 촉발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됐다. 현재 미국 내 생산물량이 충분하지 않는 상황에서 CMO가 제한되면 생산 속도 저하는 물론 비용 증가를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