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AI 모델 설명성 6배 높인 처리 기술 개발

Photo Image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윤찬현·김주영 교수 연구팀이 설명가능한 인공지능 처리를 위한 KAIST 프로토타입 보드와 EPU 칩을 개발했다. (왼쪽부터)김준수 석사과정, 김주영 교수, 고건우 석사과정, 전민수 박사과정, 김성환 박사, 윤찬현 교수, 이창하 박사과정, 김태우 박사과정. 사진=KAIST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윤찬현·김주영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설명가능인공지능(XAI) 뉴로프로세싱 유닛(EPU)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XAI기법을 처리하기 위한 노이즈에 강한 주의집중 구조 탑재 AI 칩을 설계해 반영했다.

XAI는 이해할 수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설명을 제공하는 AI 기법이다. 어떤 것이 AI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줬는지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AI 대비 정확성, 공정성, 신뢰성이 높다.

연구팀은 다중 규모 및 다중물체 특징 추출 구조인 피라미드형 신경망 구조에서 추론 결과에 영향을 주는 AI 내부 신경층별 활성화 정도를 복합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AI 모델과 가속 처리에 특화된 채널 방향 합성곱 연산 및 정확도를 유지하는 EPU칩을 구현했다.

다중 규모 및 다중물체 특징 추출에 특화된 피라미드형 AI 모델에서 설명 시각화를 구현하려면 추론 과정 역방향으로 모든 합성곱 층별 활성화 맵에서 모델 파라미터의 변화도를 추출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한정된 온 칩 메모리 크기 및 AI 모델 전체를 특정한 용도에 맞게 주문 제작해야 해 구현하는 데 물리적 한계가 있었다. 매우 작은 노이즈에도 클래스 활성화 맵핑 시각화 설명이 완전히 달라져 XAI 모델 신뢰도 저하도 큰 문제점이었다.

연구팀은 XAI의 다중 활성화 맵 고유 특성 정보를 융합해 입력 이미지 노이즈에 강한 모델 생성을 위한 상호학습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단일 활성화 맵 기반 주의집중 맵 생성 기술에 비해 설명성 지표를 최대 6배가량 높였다.

XAI 모델 가속화를 위해 기존 모델의 추론과 역전파 과정에 더해 활성화 맵 생성까지 처리할 수 있는 XAI 코어를 개발하고, 다양한 연산 태스크를 유연하게 나눠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멀티 데이터 플로우 방식도 제안했다.

윤찬현 교수는 “EPU 칩은 광학 위성, 전천후 관측 영상레이더 위성 등 특수 목적과 고정밀 AI 영상처리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저지연·저전력으로 AI 시스템 판단 근거에 대한 설명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전망”이라며 “EPU 칩 개발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인희기자 leeih@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