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자체 AI로 차세대 항암제 개발 착수…전담팀 신설

LG화학이 인공지능(AI) 기반 차세대 항암신약 프로젝트를 가동한다. AI 신약개발 기반이 되는 통합 연구 플랫폼을 하반기 오픈하고, 동시에 신규 후보물질 발굴에 착수해 차세대 항암제 개발에 도전한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올 하반기 오픈을 목표로 항암 신약 개발을 위한 '통합 AI 플랫폼'을 개발 중이다.

Photo Image
LG화학 연구원이 신약 물질을 분석하고 있다.

이 플랫폼은 연구팀 단위로 분산 운영·관리하던 데이터를 단일 채널로 통합한 게 핵심이다. 다양한 데이터를 한데 모은 뒤 AI로 학습시켜 차세대 항암신약 개발을 위한 분자 구조와 표적 단백질 정보 분석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최적 결합할 신규 표적 물질 후보군 발굴에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것으로 기대한다.


작업을 위한 전담팀도 신설했다. '신약 AI/DX팀'은 통합 AI플랫폼 구축과 함께 데이터 학습, 후보물질 도출을 위한 AI 알고리즘 개발까지 담당한다.

Photo Image
LG화학 AI 기반 항암신약 개발 현황

LG화학은 임상단계 진입을 위한 후보물질 도출을 목표로 AI 플랫폼을 전방위로 활용할 계획이다. 면역항암제, 표적항암제 등 종류도 특정하지 않을 방침이다.

현재 회사는 LG AI연구원, 백민경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와 협업해 개인 맞춤형 항암제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여기에 석차옥 서울대 화학부 교수가 설립한 AI회사 갤럭스와도 항암 단백질 선도물질 설계 연구를 하고 있다. 외부 협업과 함께 자체 항암 신약 개발 프로젝트도 착수,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는 게 목표다.

LG화학은 핵심 사업방향으로 '항암 시장'을 설정,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코히런트 마켓인사이트(CMI)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항암제 시장 규모는 309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는 등 사업성이 가장 높다.

LG화학은 지난해 기준 업계 최고 수준인 4300억원의 연구개발(R&D) 투자를 단행한 데 이어 최근 통풍치료제 임상 중단 등 사업성이 떨어지는 영역을 과감히 정리하며 항암제 시장 공략을 위한 선택과 집중에 나서고 있다.

현재 회사가 보유한 항암제 포트폴리오는 최근 미국 임상3상을 마친 신장암 치료제 '포티브다'와 미국 임상3상을 진행 중인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음성 두경부암 치료제 '파이클라투주맙', 미국서 임상1상 중인 면역항암 후보물질 'LB-LR110' 3종이다. 빠르면 2028년 첫 항암신약을 출시하는 것이 목표다. 여기에 전사 차원의 AI 도입으로 임상 단계 항암 포트폴리오를 빠르게 확보, 항암신약 전문기업으로 도약에 나선다.

LG화학 관계자는 “AI를 접목해 신규 항암제 개발 과정에 속도와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면서 “전담팀 신설과 함께 자체 개발한 통합 연구 플랫폼, 신약개발 빅데이터 알고리즘 등을 활용해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