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속 '자이언트 스텝'…한국 두 번째 빅스텝 '가시화'

Photo Image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한·미 기준금리 역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P 인상)을 결정하면서 우리나라 한국은행의 두 번째 '빅스텝'(금리 0.5%P 인상) 가능성도 높아졌다.

한은은 지난 13일 사상 첫 빅스텝 단행 이후 앞으로는 0.25%포인트(P)씩 금리 인상을 이어 가겠다고 했지만 Fed가 올해 말까지 3.75%를 금리 인상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한 만큼 역전된 금리 차이를 좁히기 위해서라도 큰 폭의 금리 인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Fed는 26~27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성명을 내고 정책금리(기준금리)를 현행 1.5~1.75%에서 2.25~2.5%로 0.75%P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물가를 잡기 위한 초강수다.

Photo Image

미국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기 부양을 위해 제로금리(금리 0~0.25%)를 2년 넘게 유지하다 올해 초부터 금리 인상 기조로 돌아섰다. 지난 3월 0.25%P를 올린 데 이어 지난 5월 빅스텝과 6월 및 이달 자이언트 스텝을 연속으로 밟으면서 약 4개월 만에 금리를 2.5%로 끌어올렸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다음 FOMC 회의에서도 큰 폭의 금리인상이 적절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강경한 금리 인상 기조를 천명한 만큼 올해 3번 남은 FOMC에서 빅스텝 이상의 금리 인상을 이어갈 전망이다.

이날 FOMC 결과 미국 기준금리가 한은 금리(2.25%)보다 0.25%P 높은 한·미 금리 역전이 일어나면서 당장 외국인 자금 유출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금리는 '돈의 가격'인데 우리 원화보다 미국 달러화 가치가 더 높아지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원화로 샀던 우리 기업 주식이나 국채 등을 팔아 달러로 바꾼 뒤 미국에 투자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지금까지 한·미 금리 역전 기간은 1996년 6월~2001년 3월, 2005년 8월~2007년 9월, 2018년 3월~2020년 2월 등 크게 세 차례 있었지만 이때 외국인 자금 유출은 일어나지 않았고 오히려 유입됐다.

다만 금리 역전이 장기화하면 달러에 비해 원화 약세가 고착되면서 원·달러 환율은 오르는 모습을 보였다. 또 금리 역전 이후 우리 주식시장은 긴 침체기를 겪었다. 특히 2018년부터 2020년 초까지 코스피는 박스권(주가가 일정한 폭에서만 등락) 장세였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

우리 주식시장은 이를 즉각 반영했다. 미국 시장이 연속 자이언트 스텝과 파월 의장의 발언을 호재로 받아들이면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가 2.62% 오르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가 전장 대비 4.06% 급등한 것과 달리 이날 코스피와 코스닥 상승 폭은 작았다.

한은도 금리 역전은 허용하되 큰 폭의 금리차는 안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Photo Image

이날 한은은 이승헌 부총재가 주재한 회의에서 “이번 미 Fed의 금리인상으로 한·미간 정책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자본 유출입, 환율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날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 뒤 기자들과 만난 이창용 총재는 빅스텝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다음 금통위 때 말하겠다”며 발언을 자제했다. 차기 금통위 회의는 다음 달 25일 예정돼 있다.


김민영기자 myk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