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가 연구개발(R&D) 집행이 역대 최대 규모로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기초연구사업 확대에도 불구하고 기초연구 집행 비중은 줄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2021년 국가 R&D 사업에 대한 조사·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총 집행 규모는 26조5791억원으로 전년도인 2020년 23조8803억원 대비 11.3%(2조 6988억원) 증가한 수준이다.
지난해는 코로나19 등으로 어려워진 경제 여건 속에서 연구개발을 통해 성장동력을 찾으려는 정부의 정책적 의지가 반영됨에 따라, 전체 집행액 가운데 43.8%(11조6478억원)이 경제발전 부분에 집중됐다.
기술 분야별로는 생명·보건 의료에 2조8880억원으로 집행 비중이 높았으며 정보통신기술(ICT)·소프트웨어(SW) 2조8411억원, 에너지자원 2조856억원 등 집행이 이뤄졌다. 최근 누리호 발사로 관심이 집중된 우주·항공·해양 분야는 총 6958억원이 집행됐다.
기후변화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대응, 감축·적응 융복합 분야는 3조4291억원이 집행된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수행 주체별로는 출연연이 9조6058억원(36.1%)으로 가장 높았다. 중소·중견 기업 집행 규모는 6조5887억원으로 전년 대비 24.8% 증가했다.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사업 확대에도 불구하고 R&D 단계별 집행 규모에서 기초연구 비중은 다소 줄었다. 기초연구 집행은 5조3068억원으로 전체 집행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7.5%를 기록하며 개발연구(48.9%) 비중보다 낮았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의 집행 비중은 2.2%P 증가했지만 지방은 16조33억원을 집행하며 전년 대비 그 규모가 1조원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책임자당 평균 연구비와 연구과제 수는 각각 4억3000만원, 1.52개로 나타났다. 국가 R&D 사업 참여 총 연구책임자는 4만9025명, 평균연령은 47.7세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해 국제 공동연구 전년 534건(350억원)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한 291건 과제(168억 원)가 진행됐다. 이는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글로벌 연구환경 악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인희기자 leei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