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EF, 공급망 회복 및 해외 투자처 확보 수단으로 활용해야" 무협

Photo Image
인도태평양 역내 주요 경제·안보 협의체 <자료 한국무역협회 제공>

우리나라가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를 공급망 회복 탄력성과 안정적인 무역·해외 투자처 확보를 위한 현실적 대응 수단으로써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IPEF가 미·중 편가르기 구도로 진행될 가능성이 낮다는 전망도 포함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미국 인도태평양 전략과 시사점:IPEF와 무역·투자를 중심으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태평양 지역은 2020년 기준 세계 인구 35.2%, 총생산(GDP) 44.8%, 상품무역 35.3%를 차지하는 시장이다. 우리나라 수출에서도 절반 가까운 47.1%(2021년 기준)를 차지하는 중요 시장이다.

보고서는 인도태평양 지역은 특히 미국 공급망 안보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이 전략품목으로 지정한 반도체는 미국(전(前) 공정), 한국(메모리 반도체 설계·생산), 대만(시스템 반도체 설계·생산), 일본(제조장비), 말레이시아(후(後) 공정) 등 협력체계가 갖춰져 있다. 아세안(ASEAN)과 인도에서는 전자·전기 제조업 가공 및 생산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보고서는 미국 인도태평양 지역 전략이 오바마 행정부 '아시아태평양' 전략에서 시작해 트럼프 행정부에서는 '인도태평양' 전략으로 확장됐고 이후 바이든 행정부까지 일관성 있게 추진돼 왔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서 탈퇴하기도 했지만 이후 미국·일본·호주·인도 등 4개국으로 구성된 쿼드(QUAD)를 뉴질랜드와 베트남 등으로 확대하는 쿼드 플러스(QUAD+)를 비롯해 아시아 국가와 경제협력 프로젝트를 연달아 제안하는 등 인도태평양 지역 전략적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보고서는 미국이 IPEF를 추진하면서 참가국 확대와 중간 선거에서 미국 내 반응이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참가가 확실시되고 있지만 미국이 기대하는 수준으로 전략적 가치를 지니려면 아세안 및 인도 참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공화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IPEF에 대한 비판이 있어 오는 11월 의회 선거결과에 따라 동력이 떨어질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보고서는 공화당도 인도태평양 지역의 전략적 중요성을 부정하지 않는데다 IPEF는 의회 동의를 얻어야 하는 무역협정이 아닌 행정협정으로 추진된다고 짚었다.

보고서는 “최근 미국의 대중국 견제가 신중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미국도 미중 간 선택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고 밝히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면서 “최근 공급망 및 물류 대란 속 안정성과 회복탄력성 있는 국가 간 협력체계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어 IPEF를 기업과 국가 실익을 극대화하는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영호기자 lloydmind@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