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취임]용산시대 개막...尹 “신나게 일해보자”

2층 집무실-1층 기자실 '소통'
1~4층 공사 중...7층은 회의실
비서실장 2층-수석비서관 3층
대통령실 명칭 15일까지 공모

Photo Image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서울 용산에 새로 마련된 대통령 집무실에서 1호 법안에 서명하고 있다.뒷줄 왼쪽부터 김대기 비서실장, 강인선 대변인, 최상목 경제수석, 최영범 홍보수석, 안상훈 사회수석,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김용현 대통령경호처장.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취임하면서 용산 집무실 시대도 본격 열렸다. 청와대가 아닌 곳에 대통령 집무실을 마련한 것은 대한민국 역사상 윤 대통령이 처음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20대 대통령 취임식을 가진 뒤 낮 12시33분 용산 대통령 집무실 건물에 들어섰다. 대통령비서실 직원 200명이 1층 안팎에서 좌우로 도열해 윤 대통령을 맞이했다. 윤 대통령은 “빠른 시일 내에 일할 공간을 준비해서 오늘부터 일을 시작하게 돼 기쁘다. 고생 많으셨다”면서 “오늘도 국민께 말씀드렸습니다마는 국민이 다 함께 잘 사는 이 나라를 위해 우리가 한 번 신나게 일해보자. 같이 하실꺼죠?”라고 격려했다.

윤 대통령은 도열한 직원들과 악수하며 집무실로 이동한 뒤 1호 법안에 서명했다. 1호 법안은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임용동의안'이다. 윤 대통령은 당분간 5층에 마련된 임시 집무실에서 국정을 이끈다.

윤 대통령이 취임했지만, 용산 대통령 집무실은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었다. 출입기자실을 비롯해 국민소통관장실이 마련된 1층 역시 공사가 계속되고 있었다. 집무실 이전 비용 등이 뒤늦게 처리되면서 리모델링 공사가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업무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현재 용산 집무실은 1~4층이 공사 중이다. 바닥에는 보호재가 깔려 있고 공사 자재가 드나들기도 했다.

윤 대통령 주 집무실이 들어서는 2층에는 국무회의 공간과 최대 200명을 수용할 수 있고 외빈을 초청할 수 있는 '간이 영빈관'도 들어선다. 국무회의 장소 완공까지는 임시로 영상회의가 가능한 7층 회의실을 사용한다. 윤석열 정부 첫 국무회의는 이곳에서 열릴 가능성이 크다.

특히 2층 집무실 바로 아래 1층이 출입기자단이 사용하는 기자실로 꾸며진 것도 눈에 띈다. 기자들과 수시로 소통하겠다는 윤 대통령 의지가 반영된 공간 설계다. 총 3개의 공간(98석·38석·34석)으로 구성됐다. 1층 가운데에는 브리핑장(자유석 46석)이 임시로 마련됐다. 정식 브리핑룸은 1∼2개월 내로 공사가 완료될 예정이다.

기자실과 대통령 집무실, 참모 업무공간이 한 곳에 위치하면서 보안도 강화됐다. 청사 내부 촬영, 녹음 등을 막기 위해 스마트폰 보안 애플리케이션(앱) 설치를 강제했다.

Photo Image
윤석열 당선인의 대통령 취임식을 하루 앞둔 9일 오후 새 대통령 집무실로 사용될 서울 용산구 옛 국방부 청사가 막바지 준비로 한창이다.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10일 취임식 직후 이 건물에 마련된 집무실에서 업무를 개시할 예정이다. 인수위사진기자단

임시로 사용하는 5층 집무실도 공사가 끝난 후에도 계속해서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청와대 본관과 비서동 양쪽에 집무실을 두고 사용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이에 5층 집무실 옆 접견실은 당장 10일부터 외교 사절 접견장소로 쓰인다. 오는 21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한미정상회담도 이곳에 개최하는 것을 잠정 확정했다.

대통령 비서실 주요 참모는 우선 6층에 입주했다. 공사가 끝나면 비서실장은 2층, 나머지 수석비서관은 3층에 배치된다. 4~10층에는 비서실 실무진과 민관합동위원회가 입주하고 있다.

윤 대통령 부부가 사용할 한남동 외교부 장관 공관도 이날부터 리모델링 공사가 시작됐다. 윤 대통령은 당분간 서초동 자택에서 용산 집무실을 매일 출퇴근한다. 경호를 위해 출퇴근 시간과 경로를 날마다 바꾼다. 출퇴근에는 약 15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청와대를 대체할 새 대통령실 명칭은 오는 15일까지 공모한 뒤 브랜드 전문가, 역사학자 등으로 이뤄진 별도 위원회를 구성해 확정할 계획이다.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 전 대통령부터 사용했던 청와대라는 명칭은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안영국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