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운전면허증 등 디지털 신원인증 '국제표준화' 시급”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행정안전부, 외교부, 경찰청 등 관계 부처와 디지털 신원인증 기술을 표준화해 해외에서도 통용되는 산업 생태계를 만들자는 논의를 시작했다. 특히 국내에서 시범운영하고 있는 모바일 운전면허증이 서비스 영역을 넘어 산업에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국제표준화 기반으로 연동해 세계에서 호환돼야 한다는 문제의식이 공유됐다.

국표원이 1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한 '디지털 신분증(ID) 표준화 포럼'에서 포럼 초대의장인 최명렬 한양대 교수는 표준화를 산업 활성화 열쇠로 꼽았다. 디지털 ID를 서비스 형태에 그치지 않고 세계에서 통용되는 시스템 형태로 발전시켜야 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디지털 ID는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집적회로(IC) 카드, 스마트 디바이스 등에 저장해 개인 신원 및 자격을 증명하는 신분증이다.

최 교수는 특히 현행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국제표준화해 산업을 활성화하자고 강조했다. 그는 “교통카드나 하이패스처럼 정부가 지원해서 국제표준까지 될 기술이 산업 활성화가 일어나고 사실상 표준이 돼 다른 나라에 판매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고 말했다. 모바일 운전면허증이 국제표준을 고려하지 않고 호환이 안 되면 교통카드와 하이패스 전례처럼 해외로 산업 생태계를 확장하지 못한다고 우려한 것이다.

행정안전부가 도입사업을 시작해 올해 1월부터 한국조폐공사가 시범운영하고 있는 모바일 운전면허증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인증서가 개인 단말에 저장되는 분산형 신원확인(DID) 방식이다. 이는 국제표준(IS)이 아닌 월드와이드웹컨소시엄(W3C) 기반 '사실상 표준(de facto standard)'이다. 현재 올해 하반기를 목표로 국내단체 표준이 추진되고 있다.

포럼 측은 한국조폐공사와 함께 우리나라 모바일 운전면허증 사례를 국제표준기구(ISO)에 발표하고, 지난해 9월 채택된 국제표준 방식인 중앙집중형 신원확인(CID) 방식과 현행 방식을 결합할 수 있는 국제표준을 제안하기로 했다.

향후 디지털 신분증은 모바일 여권이나 운전면허증에 지문, 얼굴 외 다른 신체정보를 담아 각 아이디가 여러 분야에서 각 서비스에 연동되고 호환되는 방향으로 발전할 전망이다. 김태진 라온시큐어 전무는 “디지털 ID 분야에서 한국에서 표준화되더라도 해외 도메인과 데이터 교환에서 신뢰성이 확보돼야 한다”며 “산업이 표준화되면 (데이터 교환을) 편하게 신뢰하는 환경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국표원 관계자는 관계 부처와 산·학·연이 표준화 생태계를 조성해 디지털 신분증 분야를 국제표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김영호기자 lloydmind@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