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가장 큰 숙제였던 정상등교가 궤도에 오르면서 교육당국이 장기적인 교육회복을 위한 정책 추진에 집중하고 있다. 교육계에서는 장기적 회복 지원을 위해 전담 조직을 만드는 등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교육부는 교육회복프로젝트 본격 가동과 함께 중장기 회복 과제 발굴을 위한 정책연구에 착수했다고 7일 밝혔다.
교육부는 올해까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을 통해 코로나19 교육회복 성과 분석 및 중장기 이행방안 연구를 진행한다. 이를 바탕으로 중장기 회복 프로그램을 마련해 내년부터 가동할 계획이다.
지난 2년 동안 밀집도 조정과 원격수업으로 학교교육을 이어갔지만, 심각한 학습결손이 있었다는 지적이 많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교육당국은 오미크론 확산세 속에서도 정상등교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해 4월에는 학생 90% 이상이 등교할 수 있었다. 교사가 학생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교육 활동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교실에서 실제 교류하며 이뤄지는 모든 활동이 학생의 성장에 영향을 미쳤다는 진단 때문이었다.
당장은 부족했던 학습 보충을 위한 프로그램을 가동키로 했다. 교원과 강사를 통한 교과보충과 교·사대생을 동원한 '대학생 튜터링'사업이 대표적이다. 이와 함께 교우관계 형성과 신체활동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중장기 이행과제 도출을 위해 코로나19 학습 결손에 대한 정밀 진단도 추진 중이다. 지난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등을 통해 학습결손과 학습격차가 발생했다는 진단은 있지만 어떤 부분에서 결손이 심화됐으며 상급학교 진학 시 어떤 문제를 겪었는지 등 상세한 조사는 없다. 먼저 교육부와 경기·대구·충북 교육청이 장기적으로 학생들을 관찰해 회복 과제를 도출해 내는 종단조사를 지난해부터 시작했다. 초4, 중3을 대상으로 이들이 어떻게 성장해 가는지를 3년 동안 살피는 프로젝트다. 지난해 약 5억원, 올해 15억원을 조사에 투입한다. 교과 보충에 머물지 않고 코로나19로 대면 활동 축소가 학생 성장에 악영향을 미쳤던 부분을 장기적으로 회복하기 위해서다. 현 정부는 남은 임기 기간 교육회복 프로그램 가동과 중장기 정책 도출에 집중할 계획이다.
일각에서는 정책 연구를 넘어 조직개편 등 장기회복에 보다 적극적인 대응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교육회복과나 학생건강과 등 코로나19 상황과 교육회복에 대해 산발적으로 대응하고 있는데 초·중·고·대학 교육 전반을 아울는 교육 회복을 위해 국 단위 조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최근 코로나19 이후 학생 심리·정서적 변화에 대한 의견 청취를 위해 서울의 한 고등학교를 방문하고 “코로나19로 인해 정상적인 등교수업을 통한 관계 형성 기회가 줄어들었으며 우울과 불안 증세와 같은 정서 문제를 겪는 학생들도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라며 “학생들 심리·정서적 문제 해결에 정책 제언을 듣겠다”고 말했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