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2021년 文 순방 재개...“신성장동력 확보·미래먹거리 창출”

Photo Image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과 교황청 공식방문 등을 위해 이탈리아, 영국, 헝가리 순방길에 오르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28일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청와대는 22일 문재인 대통령이 올해 대면외교를 재개함으로써 외교 다변화를 통한 신성장동력 확보 및 미래 먹거리를 창출했다고 밝혔다. 최근 불거진 방역 위기 상황과 관련해 호주 국빈방문 등을 '외유성'이라고 지적한 야당 등의 주장에 대한 반박으로 읽혀진다.

청와대는 앞서 문 대통령의 해외 순방을 통해 공급망과 한미동맹을 강화하고 선진국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했다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대면 외교가 중단되자, 전화 통화와 화상 회담 등 비대면 외교를 통해 정상외교 공백을 최소화했다. 올해 들어서는 국익 극대화를 위한 대면 정상외교를 본격 재가동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5월 미국 방문을 시작으로 5차례에 걸쳐 10개국(미국·영국 각 2회)을 순방했다. 8월 이후 외국 정상 5명의 방한을 접수했다. 청와대는 이를 통해 △한미동맹 강화 및 한반도 평화 외교 가속화 △글로벌 선도국가로서의 위상 공고화 △외교 다변화를 통한 신성장동력 확보 및 미래 먹거리 창출 등 성과를 거두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5월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우리나라 외교·안보의 근간인 한미동맹을 진정한 의미의 포괄적 전략 동맹으로 발전시켰다고 밝혔다. 당시 한미 양국은 전통적 안보동맹을 경제, 기술 등 미래지향적 협력으로 승화했다. 5G, 6G, AI, 양자, 바이오, 우주 등 첨단기술 협력과, 반도체, 배터리 등 공급망 안정화, 원자력 해외 공동진출 등 미래 공동 성장 분야 협력도 강화했다. 한미 미사일 지침 종료를 통해 우주산업 발전의 기반을 마련한 것도 성과였다.

청와대 관계자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진전 동력도 마련했다. 남북대화, 관여 및 협력에 대한 미국 측의 분명한 지지를 확보했다. 이러한 한미 간 긴밀한 공조는 북한과의 대화 재개를 모색하고 9월 유엔총회에서 문 대통령이 종전선언 추진을 다시 제안할 수 있는 기반이 됐다”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2년 연속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초청받고, G20, COP26 정상회의 참석을 통해 글로벌 현안 해결 논의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부분도 성과였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대응과 국제보건 거버넌스 개편, 디지털세 합의, 탄소중립, 다자통상체제 강화 등 핵심 글로벌 현안 해결과 국제 거버넌스 방향 재설정을 선도했다는 것이다. 특히 그린·디지털 전환 등 한국판 뉴딜, 탄소중립 정책, 백신 제조 허브 전략 등 우리 정책을 국제사회에 제시함으로써, 글로벌 선도국가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했다고 평가했다.

역대 대통령 중 처음으로 유엔총회에 5년 연속 참석, '종전선언' 구상을 다시 한번 제시하면서 한반도 평화구축 모멘텀을 재점화한 점도 의미 있었다고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은 다자회의 참석 기회를 활용해 정상회담 13회 및 30여개국 정상들과 회동을 가졌다. 이를 통해 실질협력 등 양국 관계 발전방안과 글로벌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양자 회담 요청도 쇄도했는데, 이는 우리의 국제적 위상과 영향력이 크게 제고되었다는 것을 보여준 결과”라고 설명했다.

Photo Image
3박4일간 호주 국빈 방문을 마친 문재인이 15일 시드니 킹스포드 스미스 공항에서 출발에 앞서 환송 인사들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마지막으로 한반도 주변국 중심 기존 우리 외교 지평을 유럽, 중앙아시아, 중남미, 아프리카 및 대양주로 크게 확대했다고 밝혔다. 우리 경제에 핵심적인 공급망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적극 노력했다고 부연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오스트리아와 스페인을 국빈 방문해 그린·디지털, 과학기술, 보건의료,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했다. 헝가리 국빈 방문에선 한-비세그라드 그룹(V4) 정상회의 및 체코, 폴란드, 슬로바키아와의 정상회담을 갖고 전기차, 수소, 원자력, 물류 등 우리 기업의 현지 진출 확대를 위한 협력 기반을 공고히 했다.

청와대는 이달 중순 호주 국빈 방문에 대해 “모리슨 (호주) 총리의 거듭된 초청에 따라 한·호주 수교 60주년 계기 호주를 국빈 방문해 탄소중립 기술, 수소경제, 우주 등 신성장 산업 협력 강화 및 핵심 광물 공급망 안정성 도모, 방산 협력 확대 등 미래 먹거리 창출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 경제 안보 증진을 위한 호혜적 협력 기반을 강화했다”고 강조했다.


안영국기자 a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