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난이 심각해지면서 청년들이 체감하는 경제적 고통이 지난 6년 사이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다는 집계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14일 “경제고통지수를 재구성해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를 산출한 결과 올해 상반기 기준 청년 체감경제고통지수가 2015년 집계 이후 최고치로 치솟았다”고 밝혔다.
경제고통지수는 특정 시점의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해 국민의 경제적 삶의 질을 측정하는 지표다.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는 연령대별 체감실업률에 연령대별 물가상승률을 더해 산출한다.
분석 결과 올해 상반기 기준 청년 체감경제고통지수는 27.2로, 2015년(22.2) 집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른 연령층에서도 올해 상반기 들어 최고 수준을 기록했지만 그 중에서도 청년층이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청년층의 뒤를 이어 60대 18.8%, 50대 14.0%, 30대 13.6%, 40대 11.5% 순으로 조사됐다.
한경연은 올해 들어 더 심해진 고용한파가 청년 체감경제고통지수 상승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청년 체감실업률은 올해 상반기 25.4%로 30대(11.7%)의 2.2배, 40대(9.8%)의 2.6배였다. 2015년 21.9%에서 2019년 22.9%로 4년간 1.0%p 올랐으나 그 후 2년 반 만에 2.5%p나 더 상승했다.
청년 물가상승률도 2018년 1.6% 이후 0%대를 유지하다가 올해 상반기 1.8%로 급등했다. 청년 자영업자 상황도 녹록지 않아 청년 개인사업자 폐업률은 2020년 기준 20.1%로 전체 평균(12.3%)의 1.6배였고, 2015년 19.8%보다 0.3%p 올라 전 연령대 중 유일하게 악화됐다고 한경연은 전했다.
청년들의 재무건전성도 악화되는 상황이다. 청년층(29세 이하 가구주)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2015년 16.8%로 60세 이상(13.4%) 다음으로 가장 낮았지만 2017년(24.2%)을 기점으로 전 연령대를 제치고 지속적으로 상승해 지난해(32.5%)에는 최고치를 기록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우선 기업규제 혁파, 고용 유연성 확보 등 민간의 고용창출여력을 제고해 청년들이 일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를 많이 창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