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108/1442696_20210810164217_926_0001.jpg)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을 적정 수준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감독망을 더 촘촘하게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대환대출(대출 갈아타기) 플랫폼에 대해서는 대안을 살펴보겠다고 언급했다.
은 위원장은 10일 서울 은행연합회 뱅커스클럽에서 KB·신한·우리·하나·NH농협 등 5대 금융지주 회장과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예고했다.
이 자리에서 은 위원장은 “코로나19 극복 과정에서 민간부채 확대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지만 증가 속도가 과도하게 빠르다”며 “지금부터는 리스크 측면도 비중있게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고 미래 잠재 리스크로 작용하지 않도록 선제 관리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금융지주 회장들은 “실수요와 무관하거나 자산버블을 부추기는 가계대출은 없는지 꼼꼼히 점검해 나가겠다”며 “금융당국 가계부채 증가율 목표치인 5~6% 내에서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답했다.
금융권 일자리 문제도 논의됐다.
은 위원장은 금융권이 올해 양호한 실적을 거둬 배당을 늘린 것을 거론하며 고용 창출에도 힘써달라고 요청했다. 디지털 전환이 빨라지면서 일자리 감소요인이 된 반면 핀테크가 금융산업 저변을 확대하면서 일자리 증가 요인이 되고 있어 '질 좋은 금융 일자리' 제공을 당부했다.
한편 이 자리에서 금융지주 회장들은 금융당국이 추진하는 대환대출 플랫폼에 대해 서비스 범위 제한 등 대안을 건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은 위원장은 “금융지주 회장들이 대환대출 플랫폼을 걱정하면서 제한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과 중금리로 하는 방안 등 여러 아이디어를 냈다”며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배옥진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