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우수 국방기술부터… 中企 전용 기술거래 시장 육성”

중소벤처기업부와 산하기관이 중소기업 전용 기술거래 시장 조성에 나섰다. 오는 10월 제도 시행에 맞춰 전담 추진단을 설립하고 첫 사업으로 우수 국방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준비하고 있다. 후속 연구개발(R&D) 지원부터 기술금융 지원까지 통합지원 체계가 수립될 전망이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기술보증기금은 각 기금 영업점을 통해 국방과학연구소(이하 ADD)가 보유한 3900여개 국방특허기술을 민간기관으로 이전하는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ADD에서 이전할 공급기술을 선별해 제공하면, 기보가 수요를 발굴해 기술을 매칭·중개하고 후속 R&D와 사업화 금융을 연계 지원하는 방식이다. 기술이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도 지식재산권(IP) 인수보증 등을 활용해 지원한다.

기보에서 운영하는 기술이전 플랫폼인 '테크브릿지'를 통해 기술사업화 전문회사 등 민간기술거래 기관과 공동으로 기술이전 중개에 나설 계획이다. 후속 R&D 역시 테크브릿지를 통해 지원한다. 테크브릿지를 공공과 민간, 중소기업·스타트업이 참여하는 중소기업 전용 기술거래 플랫폼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목표다. 현재 테크브릿지에 등록된 이전 대상 기술은 약 17만개에 이른다.

기보는 ADD와의 기술이전·사업화 협력을 시작으로 중소기업 기술이전 관련 사업과 기관 간 협력을 지속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부처 안팎에서도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고 있다. 그간 쉽사리 활성화되지 못했던 기술거래 시장의 중소기업 수요와 향후 정책 방향을 파악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는 10월부터는 법 개정에 따라 중기부는 기존 기술거래 정책과는 별도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거래 촉진 지원사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기보가 지난달 신사업 대응을 위해 기술거래 통합지원 추진단을 신설한 것 역시 같은 이유다. 현재 추진단에서는 기술신탁관리부터 기술매입, 기술투자 등 다양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기보 관계자는 “하반기 제도 시행에 따라 추진하는 역점 사업”이라면서 “영업점 단위 성과평가는 물론 부처 차원의 주기적 점검도 이뤄지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물론 앞서 산업기술진흥원으로 통합·폐지된 한국기술거래소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과거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전문성과 신뢰성을 갖춘 전문 민간기관이 시장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책을 내놓는 것이 핵심으로 꼽힌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미래전략연구단장은 “앞으로의 R&D는 중소기업이 기술거래와 사업화를 통해 실질적인 기술혁신을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면서 “기획과 수행 단계의 지원에서 벗어나 R&D 이후의 기술거래와 기술 보호까지 함께하는 후공정에 더욱 집중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유근일기자 ryuryu@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