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 사회를 넘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살고 있다. 인간과 사물은 물론 사물 상호 간에도 초고속통신으로 연결된 데이터 기반에서 소통이 이뤄지고 있다. 사물인터넷(IoT), 가상현실(VR), 인공지능(AI) 등 기술 용어는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생활 용어가 된 지 오래됐다. 비단 산업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공간정보를 이용한 서비스를 통해 차량 및 도보 경로 안내, 약속장소 및 맛집 위치 확인, 관심지역 부동산 정보 조회 등이 가능하다. 이에 필요한 수많은 공간정보 융·복합 데이터가 수집·분석·활용되는 공간정보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했다.
시대 변화에 맞춰 정부 역시 국가 데이터의 폭발적인 생산과 활용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요소기술이 바로 정보통신기술(ICT) 자원의 효율적인 운용 대안인 클라우드 컴퓨팅이다. 클라우드 기술 원재료라 할 수 있는 원천 데이터는 지난 2020년 1월 국회 통과 후 그해 8월부터 시행된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등 데이터 3법 개정에 따라 개인정보보호에 대해 불필요한 중복 규제를 없애고 개인과 기업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폭을 넓힘으로써 데이터댐 구축 기반을 마련했다.
한국판 디지털 뉴딜 사업에서는 공공 분야 클라우드 확산을 주요 과제로 포함하고 있다. 이는 2015년부터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일명 클라우드컴퓨팅법) 제정을 계기로 지속 추진하고 있는 정책 방향과 흐름을 함께한다. 디지털 정부 가속화를 위한 방안으로 '클라우드 퍼스트' 전략을 내세워 모든 행정과 공공기관 정보기술(IT) 시스템을 2025년까지 클라우드 환경으로 이전·통합하겠다는 단계별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클라우드는 각종 ICT 자원을 이용자가 직접 물리적으로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공용 구축된 자원을 서비스 형태(as a Service)로 임대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기존에는 시스템 구축 시 필요 자원을 직접 구축해서 중복된 자원 발생 및 유휴 자원 낭비를 초래할 수밖에 없었다면 클라우드 기술을 이용하면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인프라(IaaS)·플랫폼(PaaS)·소프트웨어(SaaS) 등 요소를 임대 서비스 형태로 끌어다가 활용하고, 자원별 소요와 상황에 맞춰 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해 전체 자원의 비용·성능·관리 차원에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는 4차 산업혁명 핵심 분야인 인간 및 사물과 물리적인 공간을 연결하기 위한 공간정보 분야에서도 적용, 활용되고 있다. 국가 공간정보는 4차 산업혁명이 성숙할수록 더 많은 정보의 생산과 사용자 수요가 일어나는 공공재(公共財) 성격을 띤다. 최근 국토교통부에서는 클라우드 기반 국가 공간정보 통합 및 융·복합 활용 체계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국가공간정보센터는 40여개 기관의 80여개 정보시스템에서 생산되는 각종 국가공간정보의 수집과 공급 창구 역할을 수행하면서 한국토지정보시스템, 국토정보시스템,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공간정보드림 등 국가 주요 공간정보시스템 4종을 운영했다. 그러나 이들 시스템은 개별 구축에 의한 노후화, 물리적 분산, 비호환성 등 애로가 있었다. 공간정보시스템을 2020~2022년 3개년에 걸쳐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클라우드 환경으로 통합 이관하고, 오픈소스 기반의 공간정보 통합 플랫폼 체계로 구성함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공간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축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클라우드 기반의 국가 공간정보 통합 및 융·복합 활용 체계는 많은 정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공간정보 플랫폼 구축에 대한 기술 부담을 경감하고 공간정보 서비스 창출에 이바지, 디지털 뉴딜의 초석 마련은 물론 새로운 공간정보 생태계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전망된다. 새로운 환경에서 수많은 양질의 공간정보 융·복합 결과물이 도출돼 삶과 경제를 더욱 윤택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공간정보 플랫폼을 쉽게 이용해 새 사업 영역으로 발전시켜서 민간 분야와 해외로 진출하는 많은 젊은 기업가가 나타나기를 기대해 본다.
김학성 웨이버스 대표이사 hskim@wavus.co.kr
-
김현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