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데이터·종지업·인터넷전문은행…지방은행 '위기냐 기회냐'

Photo Image
ⓒ게티이미지

지방은행들이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금융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본허가 사업자 선정을 앞둔 마이데이터(본인신용정보관리업)를 시작으로 종합지급결제사업 시장 개화, 인터넷전문은행 진출 등에 이르는 변화에 대응할 필요가 커졌기 때문이다. 규모가 작고 특정 지역에 특화한 지방은행의 단점을 극복할 새로운 돌파구가 될지, 빠르게 변하는 금융환경 변화에서 뒤처질지 갈림길에 섰다.

최근 지방은행은 8월 마이데이터 시행,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에 따른 마이페이먼트, 종합지급결제사업 신설, 인터넷전문은행(다이렉트 뱅크) 진출 등 새로운 금융시장 변화에 대응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JB금융그룹 계열사인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은 모두 지난달 금융위원회가 접수한 마이데이터 2차 사업자를 신청했다. 전북은행은 예비허가를, 광주은행은 예비허가를 건너뛰고 바로 본허가 사업자를 신청했다. 8월 4일 정식 마이데이터 시행을 앞두고 1차 사업자로 선정된 대형 시중은행에 뒤지지 않게끔 서비스를 출시하기 위한 전략이다.

JB금융그룹은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마이데이터 시스템을 공동 구축키로 했다. 기본서비스 개발과 관련 플랫폼 시스템 구축 등을 공동 추진해 효율성을 높이고 사업에 속도를 내기 위해서다.

BNK금융그룹 계열사인 경남은행은 1차 사업자 신청에서 대주주 적격성 문제로 심사가 중단됐지만 마이데이터 사업을 계속 준비하고 있다.

부산은행은 대주주 적격성 문제가로 2차 사업자는 신청하지 않았다. 대신 다른 마이데이터 사업자와 제휴를 맺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시스템 마련에 착수했다. 올 하반기 중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구축을 마칠 방침이다. 아직 정식 서비스 개시 일정은 불투명하지만 두 은행 모두 마이데이터 사업 진출 의지를 확고히 표명한 셈이다.

DGB금융그룹 계열 대구은행도 예비허가 신청을 접수했다.

최근 지방 금융지주는 인터넷전문은행 진출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특정 지역에 특화돼 시중 5대 대형은행보다 점포수가 적고 사용자 기반이 제한된 한계가 있는데 인터넷전문은행은 이 문제를 보완해줄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방 금융지주들은 최근 인터넷전문은행 진출에 대한 긍정적 의견을 은행연합회에 전달했다.

다만 실제 설립 착수 여부는 지켜봐야 한다. 신규 법인 설립과 이에 필요한 시스템 구축에 수백억원 이상이 필요하고 기존 은행업과 중복되는 영역이 많은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한 지방 금융지주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인터넷전문은행 추가 인허가 계획이 있다면 사업자 획득에 나설 의향이 있다”며 “아직 실제 설립에 드는 제반비용과 사업 중첩 등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들여다본 것은 아니고 의향만 전달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지방은행이 새로운 금융환경에 적극 대응하는 것은 전통 금융시장에서 빅테크가 빠르게 영향력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마이페이먼트, 종합지급결제사업이 열리게 돼 전통 금융사와 빅테크간 성역없는 경쟁이 예상되는 것도 위기 요인이다.

최근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지방은행 노조 협의회는 지역자금의 역외 유출이 우려된다며 전금법 개정안 중단을 촉구하는 성명을 내기도 했다. 종합지급결제사업자 라이선스가 정식 도입되면 지역 자금이 빅테크로 이동해 역외 유출 현상이 심각해질 수 있다고 봤다.

금융경제연구소 강다연 연구위원은 “모바일뱅킹을 근거로 한 지방은행의 금융서비스 기술력 강화가 필요하다”며 “지방은행간 기술 공유를 이용한 인프라 확장, 비대면 고객 특성을 분석하고 타깃 고객층 확보를 위해 외부 플랫폼과 제휴, 디지털 채널을 이용한 이미지 홍보와 금융상품 마케팅, 노년 고객층 모바일 이용 서비스 교육 등이 권고한다”고 말했다.

배옥진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