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1년 걸리는 지리산 고사목 파악 AI로 이틀만에

국립공원공단, 다비오·삼아항업과 기술 공동 개발 지리산에 적용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고사목 현황을 파악하는 길이 열렸다.

국립공원공단은 기후변화로 인한 지리산 아고산대 상록침엽수 고사목 현황 파악을 위해 고해상도 항공영상 기반 인공지능기술을 최근 적용했다고 15일 밝혔다.

기술은 국립공원공단이 구상나무 등 상록침엽수의 고사 현황을 효율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인공지능개발업체 다비오와 항공영상측정 업체 삼아항업과 공동으로 개발한 고해상도 항공영상 기반 AI 딥러닝 기술이다.

Photo Image

연구진은 최근 우리나라 고유종인 구상나무를 포함한 아고산대 상록침엽수가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최근 고사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 쇠퇴 현황과 원인을 신속하게 파악하기 위해 기술을 개발했다. 실제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대 상록침엽수 연구에 이번 인공지능 기반 판독 기술을 도입, 지난해 11월 19일부터 이틀 동안 약 41㎢ 면적을 대상으로 고사목 5만 4781그루를 자동으로 검출했다.

연구진은 기술 적용에 앞서 지리산 아고산대 침엽수 고사목 약 4,000그루의 질감, 형태, 색감 등을 인공지능 프로그램에 학습시켰고, 이를 토대로 학습시킨 정보량의 13배에 달하는 고사목 정보를 새로 얻었다.

연구진이 이번 인공지능 판독과 전문가 육안 판독을 비교한 결과, 선채로 고사한 수목은 약 89.1%, 쓰러져 고사한 수목은 약 56.5%로, 평균적으로 약 72.9%의 검출 정확도를 나타냈다.

연구진은 AI를 활용해 전문가의 접근이 불가능한 급경사지 등 위험지역에 대한 고사목 자료를 수집할 수 있고 수개월이 필요한 조사기간을 단 몇 시간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Photo Image

그동안 지리산 아고산대 고사목 조사는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의 고사목 정보는 수집할 수 없었다. 또 지리산 전역의 고사목 전수조사는 막대한 인력과 예산이 필요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웠다. 전문가가 육안으로 지리산 아고산대 전체 면적 약 41㎢ 대상 고사목을 검출하는데는 약 1년이 소요된다. 연구진은 향후 기술 고도화 사업을 통해 설악산, 덕유산 등 백두대간 아고산대 생태계에 확대·적용하고 향후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아고산대 상록침엽수 고사를 예측하고 보전 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최승운 국립공원연구원장은 “이번 기술개발을 시작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에 발맞춰, 기후변화 연구뿐만 아니라 생태자원, 산림 병해충 피해, 산사태 발생지 등 다양한 분야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조사 연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