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페이+지역화폐 '원 플랫폼' 필요성 커진다

전국 제로페이 가맹률 조사해보니
외국인 관광객 많이 찾는 제주·부산 확산세 더뎌
지자체별 지역화폐·상품권 운용 난립
QR결제·위챗페이 연동 강점 활용 "국가 서비스 육성" 목소리

Photo Image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제로페이 지역별 가맹 현황

코로나19 재확산으로 비대면 거래가 증가하는 가운데 지역화폐와 모바일 상품권 등을 디지털로 집적화해 '원 플랫폼'으로 통합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역상품권 애플리케이션(앱)에 제로페이 QR를 연동시키자는 것이다. QR 기반 간편결제 방식은 내수 진작과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도 효율적이다. 중국 위챗페이와도 연동돼 해외 관광객의 소비 촉진 효과가 기대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제로페이 전국 가맹점이 70만개에 육박하고 지자체 상품권 연계 소비가 급증하고 있지만 지역별 가맹률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제로페이의 양적 확대는 긍정적이지만 정작 해외 관광객이 많이 찾는 관광지의 경우 제로페이를 쓸 수 있는 가맹률은 여전히 취약했다.

Photo Image

전국 지방자치단체 제로페이 가맹률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국인이 많이 찾는 부산과 제주의 경우 제로페이 가맹률이 저조했다. 소상공인은 물론 외국인 유학생·관광객이 혜택을 보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1750만명이다. 이 가운데 34.4%인 602만명이 중국인이었다. 이들은 1인 평균 1887달러(약 210만원), 총 12조원이 넘는 자금을 소비했다.

문제는 제로페이를 쓸 수 있는 가맹점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외국인 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는 제주는 카드가맹점 대비 가맹률이 13.7%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5000여곳이 가맹을 맺고 있다. 부산도 가맹률 25.8%로 4만4000여개에 머무르고 있다.

반면 제로페이 지역상품권을 발행하는 서울과 경남 가맹률은 각각 53.5%(27만5794개), 66.3%(9만4581개)로 큰 대비를 이뤘다.

각 지자체는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해 경쟁적으로 지역화폐를 발행하거나 소비 진작 마케팅을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민간 운영사가 난립하고, 판매와 혜택 등이 따로 운영되면서 가맹점은 물론 소비자들도 제대로 된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이 수그러지면 외국인 관광객 한국 유입은 증가하고, 한국에 머무르는 유학생은 물론 외국인 근로자 소비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맞춰 각 지자체가 제로페이-위챗페이 연동 플랫폼을 연계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행정안전부와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내년도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 예산은 1조522억원에 이른다. 외국인까지 활용 가능한 QR 플랫폼이 있는 만큼 각 지역의 상품권 부가서비스를 제로페이에 집적해서 관리하고 운영하는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금융사 고위 관계자는 “지역별로 따로 민간기업을 참여시켜 지역화폐를 발행하는 것은 소모적인 데다 비효율적”이라면서 “지금이라도 중앙정부와 각 지자체가 지역상품권 앱에 제로페이 QR를 연동, 국가 서비스로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암흑의 터널에 갇힌 소상공인 입장에서도 제로페이 연계를 통한 소비 촉진 환경이 절실하다. 지자체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지난 7월 지역사랑상품권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면서 이들 소상공인은 카드 가맹과 별도로 지역상품권 가맹을 또다시 등록해야 한다. 종전에는 카드 가맹이 돼 있는 곳은 추가로 가맹 등록을 할 필요가 없었다. 지역 상권 회복 취지로 출발한 지역상품권 행정이 퇴보하고 있다는 지적이 국정감사 현장에서도 제기된 바 있다. 이 같은 법적인 규제를 최소화하고 간편결제진흥원 중심으로 각 지자체와 중앙정부가 지역 상권 회복을 위한 컨트롤타워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윤완수 간편결제진흥원 이사장은 “제로페이는 소상공인을 위해 정부가 예산을 투입한 사회국가망”이라면서 “가맹점 수수료가 없고 결제 수수료도 매출 8억원 이하 소상공인에게는 없기 때문에 코로나19에 따른 위기 상황에서 제로페이가 보유한 강점과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길재식기자 osolgil@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