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수출업계, 디지털 수출혁신을 위한 정책강화 요청

우리나라 수출 중소기업들이 코로나19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향후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수출 부진을 해소하기 위하 종합적 디지털 혁신 지원 대책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와 산업연구원은 지난 9월 실시한 1001개 중소 수출기업 설문을 토대로 '코로나19의 중소기업 수출 영향 및 디지털 수출혁신 전략 활용 실태 분석' 공동 보고서를 발표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응답 기업 54.0%는 해외 사업이 팬데믹 이전처럼 정상화되는 시점을 빨라야 내년 말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어려운 상황을 대비해 내년 상반기 이전에 사업 조정 등 자구책을 검토하겠다는 응답은 45.7%에 달했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보고서는 “코로나19 영향이 장기화되는 시점에서 비대면 수출마케팅, 온라인 수출 같은 디지털 수출혁신전략에 대한 무역업계 요구가 늘고 있다”면서 “중소기업들의 활용 수준과 효과가 충분치 못한 점은 향후 보완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업종 별 온라인 수출 및 비대면 마케팅 등에 대한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 것을 들어 정부가 대책 마련 시 세심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팬데믹이 산업 환경 전반의 비대면·온라인화를 앞당기고 있기 때문에 우리 수출기업들도 세계적인 디지털 변혁의 조류에 맞추어 디지털·온라인 수출 혁신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면서 “개별 기업 혼자 힘으로 대비하기에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맞춤형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 대책이 중소 수출기업 스스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중장기에 걸쳐 체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덧붙였다.

통상 국내 기업들은 수출 계약 체결 시 세부 내용을 협의하기 위해 대면 협의를 진행한다. 현재 출입국 제한 및 격리조치로 계약 체결에 차질이 있다는 애로를 집중 제기했다. 최근 해상 운임이 급등하고 선박이 부족해진 것도 애로 중 하나로 꼽았다.

이동기 무협 혁신성장본부장은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해 수출 중소기업들의 사업전환 및 디지털 수출혁신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맞춤형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코로나19를 디지털 수출혁신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