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대한 보건의료 데이터를 전 국민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정책 개발, 창업, 연구 지원을 활성화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심평원 보유 데이터뿐만 아니라 타 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연계해 가치를 증폭시킬 수 있는 역할이 필요합니다. 데이터 결합전문기관으로 지정되면 보건의료와 복지 관련 공공기관 데이터 허브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김현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 빅데이터실장은 데이터 3법이 개정되고 디지털 활성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이 발표되면서 늘어나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수요에 맞춰 데이터 개방과 지원을 활성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심평원은 병의원 진료비 심사,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의약품과 의료자원 관리 등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 국민 진료정보를 포함한 대규모 보건의료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김 실장은 심평원이 2014년 처음 빅데이터 조직을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 현재 기획, 사업, 지원, 연구 등 빅데이터실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심평원은 보유한 빅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적극 개방하고 있다. HK이노엔이 개발한 국산 30호 신약 '케이캡정' 개발에 빅데이터 분석을 제공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도 국내외 연구자들을 위해 코로나19 환자의 3년치 의료이용 데이터를 지원했다. 'R&D 혁신 파트너십' 사업을 운영하며 LG화학, 보령제약, JW중외제약, 한국얀센 등 기업에 맞춤형 컨설팅도 제공한다.
심평원은 데이터 3법이 개정되고 가명정보 데이터 결합이 가능해지면서 디지털 헬스케어, 스마트 의료, 신약개발, 혁신 의료기기 개발, 심층 연구 등을 위한 보건의료 빅데이터 수요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력·조직·시스템 정비와 데이터 표준화 등 준비를 하고 있다.
김 실장은 “데이터 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클라우드 전환과 시스템 교체를 포함해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등 신기술 도입 등 차세대 빅데이터 시스템을 고민하고 있다”면서 “내년부터 전산 시스템 고도화 작업을 본격 진행할 예정으로 현재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보건의료 분야 데이터 결합전문기관 지정도 준비 중이다. 자격을 갖춘 인력과 시스템을 갖추고 독립적으로 데이터 결합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내부 준비를 마쳤다.
김 실장은 “의료 분야에서 질병정보를 포함한 대용량 데이터를 다루는 곳은 심평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정도로 현재 주로 두 기관 데이터를 활용해 연구가 이뤄지고 있고 대기 수요도 상당해 원활한 대응을 위해선 복수 기관 지정이 필요하다”면서 “보건의료 데이터는 인구사회학적 데이터와 달라 데이터 속성을 정확히 이해해야 재식별 위험과 왜곡을 방지할 수 있고 대용량 데이터 전송시 데이터 유출·훼손 위험도 있는 만큼 ICT 시스템을 갖추고 데이터 속성을 잘 이해하고 있는 건강보험 분야 결합전문기관에 '셀프결합'을 허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현정기자 i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