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넷플릭스법' 디테일도 챙겨야

Photo Image

지난 8일 공개한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 개정안을 놓고 정부와 업계에서 갑론을박이 한창이다. 특히 네이버와 카카오가 시행령을 놓고 강하게 반발하면서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시행령은 넷플릭스처럼 많은 트래픽을 유발하고도 망 유지비를 내지 않는 사업자의 무임승차를 규제하기 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개정 초기부터 넷플릭스와 페이스북 등 해외사업자를 겨냥해 '넷플릭스법'으로 불렸다. 정작 내용이 공개되자 국내 인터넷 업체는 역차별 개선은커녕 차별화를 더 고착화한다고 반발하고 있다. 정부는 숙의 과정을 충분히 거쳤다고 반박했지만 논란은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는 상황이다.

넷플릭스법 취지는 분명하다. 그동안 사각지대에 있던 해외사업자의 무임승차를 제재할 수 있는 근거 법안이 마련됐기 때문이다. 만약 법이 개정되지 않았다면 국내 사업자는 여전히 역차별을 받을 게 분명하다. 과도한 트래픽을 점유하고도 망 품질에 대해 무관심하다면 비난받아 마땅하다. 제재할 수 있는 근거법을 마련한 점은 후한 점수를 줘야 한다. 더욱이 국내보다는 해외 트래픽 비중이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다. 시행령에서 물꼬를 트면서 이를 견제할 수 있는 발판을 확보했다는 면에서 긍정적으로 바라봐야 한다. 과거보다 진일보했다는 점은 인정해 주자.

아쉬움은 있다. 인터넷업계의 주장 가운데 적용 대상 기준은 고민해 봐야 한다. 시행령에서는 하루 평균 이용자 수 100만명이 넘는 동시에 국내 총 트래픽 양에서 1% 이상을 차지하는 부가사업자를 규제 대상으로 정했다. 1%라는 기준이 모호한 게 사실이다. 최고와 최저치를 뭉뚱그려 기준을 정하는 점도 형평성에 맞지 않다. 트래픽별로 규제 방안을 세분화하든지 좀 더 구체적인 보완책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다소 개선이 필요하더라도 법 취지를 잊으면 안 된다. 법안을 흑백논리로 재단한다면 시장이나 산업에 도움이 될 리 만무하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