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수출규제 1년, '韓 소부장' 경쟁력 높아졌다"

일본 수출규제와 한국에 대한 화이트 국가 제외 조치 1년 이후 한국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경쟁력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으로부터 소부장 등을 수입하는 주요 기업들은 지난해 7월 일본 소부장 경쟁력을 100으로 가정했을 때 한국 소부장 경쟁력을 지난해 7월 89.6에서 올해 6월 91.6까지 상승했다고 평가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시장조사기업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매출액 1000대 기업(비금융 업종) 중 일본과 수입거래가 있는 우리 기업 149개사를 대상으로 '일본 수출규제 1년, 소부장 경쟁력 변화'에 관해 설문 조사한 결과다.

Photo Image

주요 업종별로 일본 대비 경쟁력 변화를 보면 반도체·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92.7에서 98.7로 가장 많이 상승했다 지난해 7월 초 3대 품목(불화수소·포토레지스트·플루오린폴리이미드) 수출규제 이후 이들 품목에 대한 경쟁력 강화 노력이 가장 컸음을 알 수 있다.

이어 1차금속 제조업 88.1→92.5, 식료품 제조업 91.9→96.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97.0→101.0,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96.1→97.8로 경쟁력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간 일본으로부터 소부장 수입에 실질적 어려움을 겪은 경험에 대한 조사 결과 '어려움이 없었다(45.6%)'는 응답이 '어려움이 있었다(23.5%)'는 응답보다 많았다. 이는 일본 조치가 실제 수출규제로 이어진 경우보다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았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실제 조사대상 기업 68.5%는 수출규제 이후에도 소부장 수입선을 국내나 제3국으로 대체하지 않고 기존처럼 일본에서 수입을 계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31.5% 기업은 수출규제 이후 소부장 국산화 등 공급선 변화를 도모했으며, 평균 3.35%를 일본 이외 공급선으로 대체했다고 응답했다.

기업 대응과 관련해 일본 거래기업 절반 이상은 별도 대응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별도 대응하지 않음'이라는 응답이 57.1%로 가장 높았고, '일본 외 대체 수입선 확보(18.8%)', '국내 거래선 확보(17.4%)'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부품소재 자체제작(4.0%)', '생산품목 등 제품 포트폴리오 변경(2.7%)'도 있었다.

한일관계 개선 필요성에 대해서는 '개선해야 한다'는 응답이 66.4%로 '불필요하다'는 응답 3.4%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기업들은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적절한 방안으로 '한일 정부 간 외교적 타협(66.4%)'을 꼽았다. 'WTO 등 국제중재수단 활용(11.4%)', '미국의 한일 간 중재(7.4%)' 등도 제시됐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일본 수출규제 1년 우리 소부장 경쟁력이 정부와 기업 노력으로 다소 상승했으나, 단기간 소부장 경쟁력을 일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면서 “소부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관의 꾸준한 노력과 함께 양국 정부도 수출규제 해소를 위해 적극 노력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치연기자 chiye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