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전자정부국→디지털정부국' 개편 가속

분산된 데이터 기능 집중·통합
AI 부서 신설...지능형 정부 도약
'대국민 서비스 향상' 패러다임 전환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행정안전부가 '전자정부국'을 '디지털정부국'으로 탈바꿈하는데 박차를 가한다. 데이터·인공지능(AI) 등 주요 분야 조직을 개편·신설해 디지털정부 전환을 지원한다.

그동안 행안부 데이터 관련 기능은 정부혁신조직실(공공데이터정책과, 행정정보공유과)과 국가정보자원관리원(빅데이터분석과)에 분산돼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 속 정책 수립과 집행 유기적 연계에 한계가 있었다. 4차 산업혁명 핵심이자 미래형 플랫폼인 AI 기반 지능형정부 구축을 지원·선도할 전담조직이 없었다.

행안부는 이번 조직개편으로 부내 분산된 데이터 관련 기능을 집중·통합해 데이터경제를 선도한다. AI 관련 부서를 신설해 지능형정부로 기반을 다진다.

정보기반보호정책관을 '공공데이터정책관'으로 전환하고 그 아래 데이터 관련 기능 3과(공공데이터정책과, 공공데이터유통과, 빅데이터분석활용과)와 AI 기반 서비스 기능 2과(공공지능정책과, 지능행정기반과)를 배치한다. 공공데이터 관련 기능을 집중·통합해 데이터 생성, 유통, 개방, 활용에 이르는 데이터 전 주기를 관리한다. 마이데이터 사업, 모바일 신분증, 디지털 고지·수납 등 데이터 관련 주요 사업을 추진한다.

AI 기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담조직을 신설한다. 공공지능정책과는 대국민 맞춤형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추천·안내하는 '국민비서' '민원365' 등 사업을 추진한다. 지능행정기반과는 칸막이 없는 협업행정과 현장 중심 원격근무 지원 등 스마트 행정환경 구축에 주력한다.

정보화사업성과관리과와 정보자원정책과를 '디지털정부기반과'로 통합한다. 빅데이터, 5세대(G) 이동통신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가정보통신망 고도화사업을 추진한다. 디지털서비스 이용·확산을 위한 AI 활용 보안체계를 강화해 시스템 안정성을 높인다.

조직개편은 1월 발표한 '정부 조직관리 혁신방안'에 따라 별도 기구 신설, 인력 증원 없이 내부 조직진단에 기반해 이루어진 첫 사례다. 행안부는 쇠퇴한 기능을 축소하고 신기술·현장서비스로 역량을 집중하는 기능 재조정으로 조직 효율화를 지속 이루도록 할 예정이다.

이인재 행안부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조직개편은 디지털정부 혁신을 위한 첫걸음”이라면서 “이전 전자정부가 인프라 구축 등 공급자 중심이었다면 디지털정부는 대국민 서비스 향상을 지향하는 수요자 중심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데이터와 AI로 한층 더 깊고 넓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가 되겠다”고 강조했다.행정안전부가 '전자정부국'을 '디지털정부국'으로 탈바꿈하는데 박차를 가한다. 데이터·인공지능(AI) 등 주요 분야 조직을 개편·신설해 디지털정부 전환을 지원한다.

그동안 행안부 데이터 관련 기능은 정부혁신조직실(공공데이터정책과, 행정정보공유과)과 국가정보자원관리원(빅데이터분석과)에 분산돼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 속 정책 수립과 집행 유기적 연계에 한계가 있었다. 4차 산업혁명 핵심이자 미래형 플랫폼인 AI 기반 지능형정부 구축을 지원·선도할 전담조직이 없었다.

행안부는 이번 조직개편으로 부내 분산된 데이터 관련 기능을 집중·통합해 데이터경제를 선도한다. AI 관련 부서를 신설해 지능형정부로 기반을 다진다.

정보기반보호정책관을 '공공데이터정책관'으로 전환하고 그 아래 데이터 관련 기능 3과(공공데이터정책과, 공공데이터유통과, 빅데이터분석활용과)와 AI 기반 서비스 기능 2과(공공지능정책과, 지능행정기반과)를 배치한다. 공공데이터 관련 기능을 집중·통합해 데이터 생성, 유통, 개방, 활용에 이르는 데이터 전 주기를 관리한다. 마이데이터 사업, 모바일 신분증, 디지털 고지·수납 등 데이터 관련 주요 사업을 추진한다.

AI 기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담조직을 신설한다. 공공지능정책과는 대국민 맞춤형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추천·안내하는 '국민비서' '민원365' 등 사업을 추진한다. 지능행정기반과는 칸막이 없는 협업행정과 현장 중심 원격근무 지원 등 스마트 행정환경 구축에 주력한다.

정보화사업성과관리과와 정보자원정책과를 '디지털정부기반과'로 통합한다. 빅데이터, 5세대(G) 이동통신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가정보통신망 고도화사업을 추진한다. 디지털서비스 이용·확산을 위한 AI 활용 보안체계를 강화해 시스템 안정성을 높인다.

조직개편은 1월 발표한 '정부 조직관리 혁신방안'에 따라 별도 기구 신설, 인력 증원 없이 내부 조직진단에 기반해 이루어진 첫 사례다. 행안부는 쇠퇴한 기능을 축소하고 신기술·현장서비스로 역량을 집중하는 기능 재조정으로 조직 효율화를 지속 이루도록 할 예정이다.

Photo Image
디지털정부국 조직도

이인재 행안부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조직개편은 디지털정부 혁신을 위한 첫걸음”이라면서 “이전 전자정부가 인프라 구축 등 공급자 중심이었다면 디지털정부는 대국민 서비스 향상을 지향하는 수요자 중심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데이터와 AI로 한층 더 깊고 넓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가 되겠다”고 강조했다.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


브랜드 뉴스룸